시장 규모 및 경쟁기업 현황에 대한 자료를 꾸준히 조사해서 업로드하고 있습니다.
지난 글에서 푸드테크, 메타버스, 드론 시장 등을 살펴보았는데 이 글에서는 디지털 트윈 시장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지난 글은 아래 링크를 통해 시장규모와 경쟁기업, 기술 동향을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https://nomadsdream.tistory.com/434
푸드테크 시장 규모 기술 동향 및 10대 기술
KSTEP에서 푸드테크 관련하여 기술 동향과 산업 동향을 알 수 있는 자료가 나와 정리해봅니다. 푸드 테크는 차세대 성장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식품에 신기술을 더해 식품 제조 및 유통 전
nomadsdream.tistory.com
https://nomadsdream.tistory.com/445
글로벌 드론 시장 규모와 산업 현황
지난 글에서 국내 웹툰 시장의 규모와 산업 현황을 조사했는데 이 번에는 드론 시장의 규모와 산업 현황에 대해서 정리해볼까 합니다. 산업의 규모와 현황 파악은 단순히 파악에만 그치지 않고
nomadsdream.tistory.com
https://nomadsdream.tistory.com/446
메타버스 시장규모 및 산업 동향
2021년 비트코인 상승장이 오면서 함께 뜬 개념이 NFT였습니다. NFT 열풍이 불면서 동시에 메타버스(Meta-Verse)라는 개념이 나왔습니다. 영화에서 보던 것처럼 가상의 세계에서 실제로 모든 비즈니스
nomadsdream.tistory.com
디지털 트윈(DX)이란?
디지털 트윈(DX)은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기계나 장비, 사물 등을 컴퓨터 속의 가상세계에 구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트윈이 쌍둥이란 뜻이기 때문에 가상세계에 복제한다는 의미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디지털 트윈 기술은 실제 제품을 만들기 전에 모의시험을 하기 위해 가상세계에 복제하는 것으로 사전에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활용되는 기술입니다.
2010년대 나사(NASA)에서 우주선의 물리 시뮬레이션을 위해 최초로 시작이 되었는데 이후 GE를 포함하여 여러 산업으로 확산되면서 디지털 트윈이 넓게 적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디지털 트윈 시장 규모
시장조사기관 프레시던스 리서치(Precedence Research)에 따르면, 전 세계 디지털 트윈 시장규모는 2022년 102억 5,000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30년까지 약 2,691억 달러까지 성장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 기간 연평균성장률(CAGR)은 38.7%로 향후 10년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지털 트윈에는 실제 프로세스를 물리적 시스템과 동기화하는 작업이 포함되며, 여러 지역 정부가 디지털 트윈 기술 투자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에 따라 향후 디지털 트윈 시장은 더욱 성장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디지털 트윈 기술 시장은 코로나19 기간 동안 성장이 주춤했지만, 엔데믹 이후 기업들이 비즈니스 모델을 재구성함에 따라 다시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의료 및 제약 분야에서의 채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자동차 및 운송, 항공우주 분야에서의 성장도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특히 3D 시뮬레이션 기술의 발전이 디지털 트윈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데, 일례로 미 육군 항공 및 미사일 사령부는
헬리콥터 함대 블랙호크에 3D 스캐닝 기술을 이용해 디지털 트윈을 구축한 바 있습니다
디지털 트윈 분야 선도국가
시장조사기관 퓨처마켓인사이트(Future Market Insights)의 조사에 따르면, 디지털 트윈 시장에서 미국의 시장 점유율은 27.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일본이 7.1%로 2위를 기록하였으며 독일이 6.2%, 호주가 0.6%로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미국은 디지털 트윈 분야에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면서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으며, 유럽은 에너지 그리드 분야에서 디지털 트윈 기술 활용을 늘려가고 있습니다.
미국은 시장조사기관 마켓유에스(Market.us)의 자료에 따르면 북미 지역 디지털 트윈 시장 규모가 전체의 34.6%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현재 북미 지역에서는 제조업과 의료, 스마트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고 있으며, 정부지원과 연구개발 투자가 시장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정부 차원에서 디지털 트윈 프로젝트인 PLATEAU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일본은 디지털 트윈 기술 개발 및 구현 분야에서 선두주자로 떠올랐습니다. 일본 정부는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을 위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 프로젝트 PLATEAU를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플랫폼은 3D 스캐닝을 통해 도시를 구현하고, 사이버공간 상에서 도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동차 산업과 항공우주 산업, 에너지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독일은 정부 주도로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는 단계입니다.
독일 연방 지도제작 및 측지국(BKG)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3D 데이터를 구축하고 있으며, 함부르크 항만청(HPA)은 Nemetsche의 Allpan, Solibri 솔루션을 활용하여 함부르크 내 Köhlbrand 교량의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트윈 선도 기업
디지털 트윈은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지멘스와 제너럴 일렉트릭은 들어보신 분들이 많으실텐데 이런 기업들이 디지털 트윈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입니다.
Dassault Systems : 강력한 3D 시뮬레이션 플랫폼 제공 - 의료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플랫폼 제공 • Siemens : 소형 디지털 트윈의 설계, 개발 및 판매 - 산업용 메타버스 허브 구축 위한 계획 수립 • General Electric : 자산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 개발 - 혁신적인 디지털 트윈 기술 개발을 위해 다양한 분야 기업과 파트너십 체결
앞서 살펴본 것처럼 선도기업은 미국이 압도적입니다.
Dassault Systems의 디지털 트윈
Dassault Systems은 강력한 3D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 의료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플랫폼 제공
- 환자 고유의 의료정보에서 가져온 신체 데이터와 건강 데이터를 결합하여 버츄얼 트윈(Virtual Twin)을 만들 수 있는 시뮬레이션 플랫폼 EXPERIENCE 개발
- 환자의 고유한 해부학적 구조를 기반으로 하므로 정확한 시뮬레이션 제공 가능
- 버츄얼 트윈 아바타 ‘엠마트윈(Emma Twin)’를 통해 질병과 치료 효과에 대한 정보 제공
지멘스의 디지털 트윈
Siemens 는 소형 디지털 트윈의 설계, 개발 및 판매를 주력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이름은 들어봤는데 뭘하는지 궁금하셨을 것 같은 기업이 지멘스입니다. 지멘스는 이런 일을 합니다.
Siemens : 소형 디지털 트윈의 설계, 개발 및 판매
• 산업용 메타버스 허브 구축할 계획
- 산업용 메타버스 활용을 위한 글로벌 연구개발 및 제조 허브 구축할 계획 발표
- 산업용 3D 프린팅 및 혁신적인 전력 장치 등의 연구개발 및 생산 담당할 것이며, 해당 허브 역시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개발할 계획
• 디지털 트윈에 인공지능 활용하는 방안 연구
- 스마트디지털 시스템 연구에 중점을 둔 기술 연구기관 CEA
- List와 협력하여 인공지능을 디지털 트윈에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며 이를 통해 축적한 지식은 엑셀러레이터 포트폴리오에 추가할 계획
제너럴 일렉트릭의 디지털 트윈
General Electric 은 자산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을 개발했습니다.
• 2022년 최고의 자산 성과 관리 솔루션에 선정
- 2022년 산업 분석 기업 Verdantix가 선정한 최고의 자산 성과 관리 솔루션 공급업체로 선정
• 혁신적인 디지털 트윈 기술 개발 위해 다양한 분야 기업과 파트너십 체결
- 고정밀 시각화 기능을 제공하는 3D 디지털 트윈 제공업체 Visionaize와 파트너십 체결하고 APM Mechanical Integrity 소프트웨어에 기술 통합
- 자산 성능 개선 제공업체인 Stork와 제휴하여 자산 전략 라이브러리(ASL) 제공
디지털 트윈 분야의 유망기술
디지털 트윈 분야의 유망 기술은 그래픽 처리장치(GPU) 및 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 등입니다.
가상세계에 그래픽으로 구현을 해야하다보니 관련 기술들이 디지털 트윈 분야의 핵심 기술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 디지털 트윈 및 IoT 시뮬레이션에서의 API 보안 구현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생성형 AI, 디지털 트윈 기술에 이점을 줄 수 있는 잠재력 보유
- 사물인터넷(IoT): 사물인터넷 기술 혁신, 디지털 트윈 기술 채택의 원동력
- 자율주행차(Autonomous Driving): 모바일 드라이브, 디지털 트윈 기술 활용하여 자율주행 시스템 구축
디지털 트윈 분야의 수요처
디지털 트윈이 많이 사용되는 분야는 의료, 우주항공 분야도 있지만 반도체를 포함하여 여러 산업 분야에서 수요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 중 가장 많은 수요가 일어나는 분야를 5가지 뽑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 반도체(Semiconductor): 美 반도체 업체, 점유율 회복 위해 디지털 트윈 기술 활용
- 소매(Retail): 아마존, AR 디지털 트윈을 위해 Hexa와 협력
-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월트디즈니스튜디오, 영화 제작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윈 도구 개발
- 교육(Education): 교육자와 학습자에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는 디지털 트윈
- 항공우주(Aerospace) 항공우주 산업에서 디지털 트윈의 이점 다수
'경제와 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신 인공지능 시장 규모와 산업 현황 2023 (21) | 2024.02.23 |
---|---|
글로벌 스트리밍 시장 현황 2023 (22) | 2024.02.23 |
MIT에서 말하는 2024년 10대 미래 신기술 (25) | 2024.02.17 |
우리나라 총인구 인구 성장률 및 인구 관련 통계보기 (25) | 2024.02.15 |
동네상권발전소 사업과 로컬 크리에이터의 중요성 (25) | 2024.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