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기업

자본시장연구원 국내 M&A의 특징 분석과 시사점 인수자 관점에서

by 티꿈 2023. 9. 14.
반응형

자본시장연구원에서 흥미로운 레포트가 하나 나왔습니다.

국내 M&A 시장의 특징 분석과 시사점을 인수자 관점에서 분석한 레포트입니다.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서 같이 한 번 살펴보면 M&A 시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국내 M&A의 특징 분석과 시사점

1. M&A 거래 규모 및 유형

 - 2010년 거래건수 200건, 거래규모 36.1조원 수준이었던 국내 M&A 시장은 2021년 거래건수 367건, 거래규모 123.4조원으로 정점을 기록하기까지 꾸준한 성장을 나타냈습니다. 2022년 들어 거래건수 299건, 거래규모 56.3조원으로 M&A 시장이 다소 위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기간을 살펴 볼 때 꾸준한 성장을 이룬 것으로 평가됩니다.

- 평균 M&A 거래규모도 2010년 1,580억원에서 2022년 1,880억원으로 꾸준한 증가 추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내 M&A의 특징 분석과 시사점2

- 거래유형별 M&A 거래건수 및 규모를 살펴 보면 인수거래 2,439건 중 기업도산과 관련된 인수는 122건, 15.7조원으로 건수 및 규모기준 전체의 5.0%, 4.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인수 방식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방식은 구주 인수로서 건수 및 규모 기준으로 각각 64.2%, 51.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거래유형별 M&A 거래건수 및 규모

2. 재무적투자자 인수거래의 특징 (거래가치평가)

 - 2010년대 들어 국내 M&A 시장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바이아웃 펀드를 중심으로 한 PE의 급속한 성장세입니다. 2005년 국내 도입된 PE는 2010년대 들어 급성장하며 기업 투자와 M&A 시장에서 주요 시장참여자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 재무적투자자에 의한 인수 는 727건으로 전체 인수거래의 24.1%를 차지하고 있으며 규모 기준으로는 20.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PE인 재무적투자자의 비중은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7 년 32.6%를 기록한 후 2022년 20% 중반 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거래규모 기준으로는 특정 연도의 특정 인수거래에 따라 비중의 차이가 큰 편이지만 대체로 20% 수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한편 재무적투자자가 매도자인 경우는 거래건수 및 규모 기준으로 각각 9.2%, 12.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국내 M&A의 특징 분석과 시사점2

 

3. 전략적 투자자 인수거래의 특징 (인수업종 연관성)

- 기업의 인수거래 참여 동기는 다양한데 가치창출 목적의 M&A 동기로는 시장지배력 강화(Kimet al, 1993), 효율성 개선(Banerjee et al, 1998)과 자원재배분을 들 수 있습니다다(Haleblian et al, 2009) 특히 자원재배분은 자산과 투자기회의 기업 간 재배분(redeployment)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인수 동기입니다. 생산비용에 있어서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지만 투자 기회의 고갈로 유기적으로(organically) 성장할 역량이 부족한 인수기업이 특허와 같은 무형자산과 투자 기회를 획득하는 자원의 기업 간 재배분 수단으로 M&A를 활용할 수 있다(Levine, 2017). 

- 이러한 성장 동기의 M&A는 다각화 또는 범위의 경제(economy of scope) 확대를 위한 연관업종 내 기업의 인수를 통하여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 기업 인수거래의 특징을 살펴볼 때 동일업종 기업의 인수 비중은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중분류 기준으로 2013년 동일업종 기업인수 비중이 34.2%로 정점을 기록한 후 점차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소분류 기준으로도 2017년 이후 동일업종 기업인수 비중이 추세적인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국내 M&A의 특징 분석과 시사점3

4. 소결

- 국내 M&A 시장은 2010~2022년 간 거래규모가 꾸준히 성장하는 가운데 국내 매수자-매도자 간 거래의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이며 M&A 방식으로 구주 거래 인수 방식이 핵심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또한 상장기업이 거래 대상기업인 M&A 비중이 규모 기준으로 33.4%에 불과하여 비상장기업 M&A가 주종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인수자 유형을 기준으로 살펴보았을 때 동 기간 PE를 중심으로 한 재무적투자자의 국내 M&A 시장 참여가 확대되었는데 자금모집의 증가와 저금리로 인한 인수금융 증가 등 투자재원의 확대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편 투자재원의 확대와 더불어 최근 재무적투자자의 성장업종 투자 확대는 전반적인 M&A 거래가치평가 배수의 증가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됩니다.

- 전략적투자자의 경우에는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타 업종 기업의 인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가 발견되어 투자 기회 획득을 위한 성장형 인수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자본시장연구원의 레포트를 확인하세요. 

굉장히 좋은 내용입니다.

 

국내 M&A의 Ư¡ 분석과 시사점 인수자 관점에서(자본시장연구원).pdf
0.60MB

728x90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