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기업 동향에 대한 통계자료입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매년, 분기 통계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2022년 코로나 시기와 엔데믹 이후의 통계가 다른데 창업기업이 생겨나고 사라지는 것이 기업의 입장에서는 영업이 되느냐 되지 않느냐와도 직결이 됩니다.
통계가 흥미로운 부분도 있어서 한 번 눈여겨 보게 됩니다.
1. 2023년 상반기 창업기업 동향 개요
- 2023년 상반기 창업은 온라인·비대면 관련 업종의 증가세 지속과 거리두기 해제 등으로 대면 업종 중심으로 증가했으나, 글로벌 경기둔화와 3高(고금리·고환율·고물가) 지속 등은 창업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전년동기대비 6.5%(45,387개) 감소한 65만 504개로 집계되었습니다.
* 상반기 창업기업(개) : (’20) 809,599 → (’21) 730,260 → (’22) 695,891 → (’23) 650,504
- 특히, 작년부터 이어진 고금리, 부동산 경기 하락 등으로 부동산업의 신규 창업이 전년동기대비 61,616개(47.3%) 대폭 감소한 것이 상반기 창업감소의 주된 요인으로 분석되었고,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올해 상반기 창업은 전년동기대비 16,229개(2.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상반기 부동산업 제외 창업기업(개) : (’20) 516,789 → (’21) 569,587 → (’22) 565,565 → (’23) 581,794
다만, 2020년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증가했던 부동산 창업은 전체 창업증감률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나, 점차 그 비중이 낮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 연간 상반기 부동산업 창업 및 전체창업 중 비중(개, %) :
(’20) 292,810(36.2) → (’21) 160,673(22.0) → (’22) 130,326(18.7) → (’23) 68,710(10.6)
2. 상반기 주요 업종 분석
1) 숙박 및 음식점업
- 상반기 숙박·음식점업은 코로나19 엔데믹, 기저효과, SNS를 통한 디저트류 유행, 상가 임차료 인하, 여행·캠핑 수요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 두 자릿수가 증가했습니다.
- 업종별로 살펴보면 코로나19 엔데믹 선언 이후 대면업종 생산이 확대되면서 숙박 및 음식점업(18.3%↑), 개인서비스업(10.1%↑) 등은 전년대비 신규창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도매 및 소매업(3.4%↑), 전기⸱가스⸱공기(44.6%↑), 교육서비스업(7.6%↑), 사업시설관리(7.0%↑), 예술⸱스포츠⸱여가업(8.4%↑), 수도⸱하수⸱폐기물(4.7%↑)
- 엔데믹 선언 이후 유동인구 증가에 따른 수요확대와 SNS, 미디어를 통한 디저트류(탕후루, 개성주악 등) 유행 등이 창업에 긍정적으로 작용
- 최근 부동산 경기부진으로 공실률이 높은 상가의 경우 임차료를 임하하고 있어 음식점업 창업에 긍정적으로 작용
- 엔데믹 이후 국내외 여행 수요 증가와 해외 관광 입국자 증가와 함께 호텔, 여관 등의 숙박보다 기존 건물을 이용할 수 있는 민박업과 일반 및 생활 숙박시설 운영업 창업이 크게 증가
2) 도소매업
- 상반기 도·소매업은 낮은 초기 투자비용, 온라인 소비문화의 확산, 통신판매중개 플랫폼 발전 등의 영향으로 전자상거래업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지속됐습니다.
- G마켓, 네이버, 쿠팡, 11번가 등 오픈마켓을 통해 많은 소상공인 등이 온라인 쇼핑 시장으로 수월하게 진입할 수 있었던 부분도 크게 작용
- 코로나 19 팬데믹 기관 호황을 누렸던 음식 서비스의 경우 5.3% 역성장한 반면, 엔데믹 이후 해외여행 및 외부활동 증가로 여행, 교통서비스(65.1%), 문화레저서비스(28.3%), e쿠폰서비스(33.4%) 등의 업종은 성장
3) 개인서비스업
- 상반기 개인서비스업은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유동인구 증가에 따른 수요확대, 틈새시장을 공략한 혁신적 창업 출현 등으로 증가했습니다.
- 엔데믹 이후 유동인구 증가에 따른 수요 확대, 틈새시장을 공략한 혁신적 창업의 출현 등으로 개인 서비스업 창업은 증가했습니다.
- 다양한 프리랜서 증가, 출장형 대형견, 목욕 서비스업 등 새로운 형태의 개인서비스업 창업 출현 등으로 개인서비스업 신규창업 활발
- 개인 간병 및 유사서비스업, 체형 등 기타 신체관리 서비스업 등을 중심으로 평가
4) 교육서비스업
- 상반기 교육서비스업은 코로나19 엔데믹에 따른 대면교육 활성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소규모 교육 창업 증가, 건강·취미에 대한 수요확대 등으로 신규창업이 활발했습니다.
-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13.4%↓), 건설업(10.4%↓), 운수·창고업(10.3%↓) 등은 고금리, 원자재 상승, 국내외 경기부진 지속에 따른 투자 축소, 수출감소 등으로 창업이 감소*하였습니다.
* 부동산업(47.3%↓), 제조업(11.6%↓), 금융 및 보험업(33.4%↓), 정보통신업(3.4%↓),농⸱임⸱어업 및 광업(5.1%↓), 보건⸱사회복지(9.4%↓)
- 2023년 상반기 기술기반 창업은 115,735개로 전년동기대비 4.6%(5,554개) 감소했으며, 전체 창업에서 기술기반 창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동기대비 0.4%p 상승하며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 연간 상반기 기술기반 창업 및 전체창업 중 비중(개, %) :
(’20) 116,280(14.4) → (’21) 122,444(16.8) → (’22) 121,289(17.4) → (’23) 115,735(17.8)
'경제와 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기업 산업 기술동향 조사하는 방법 KIAT 동향워치 추천 (149) | 2023.09.18 |
---|---|
데이터 거래 플랫폼 농식품 빅데이터 거래소 KADX 추천 (135) | 2023.09.17 |
자본시장연구원 국내 M&A의 특징 분석과 시사점 인수자 관점에서 (96) | 2023.09.14 |
현대경제연구원 2023년 글로벌 경제 리스크 요인과 시사점 (164) | 2023.09.13 |
최고의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 5가지 추천 (와디즈, 오픈트레이드, 텀블벅, 오마이컴퍼니, 해피빈) (112) | 2023.09.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