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성경제연구원, LG경제연구원, 현대경제연구원 등 사기업의 경제연구원이지만 좋은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여러 레포트를 지속 발간하고 있습니다. 한국 경제를 이끌어나가는 여러 연구자들이 한국 경제를 바라보는 시각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레포트는 투자하는 모든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가 됩니다.
9월 8일에 발간된 경제주평 통권 955호, 글로벌 경제 리스크 요인과 시사점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서 공유합니다.
써머리를 공유합니다.
1. 글로벌 경제 리스크 요인
- 세계경제 피크아웃(peak out)
- 2023년 하반기 들어 주요 선진국은 물론 신흥개도국도 경기 회복세 둔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중장기적으로도 세계경제 성장세가 약화되면서 국내경제에 리스크로 작용할 것으로 우려된다.
- 2024년에도 G2(미국과 중국)의 성장세 둔화가 세계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중장기적으로도 세계경제는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하향 안정화될 전망이다.
- 달러의 독주
- 달러의 강세가 17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내년 상반기까지도 달러의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로 인한 악영향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 중국 대차대조표 불황 시작
- 현재 중국에서 민간 부문의 본격적인 디레버리징과 투자위축이 나타나고 있지 않으나, 부동산 경기침체가 심화되어 중국 경제가 대차대조표 불황(Balance sheet recession)에 진입하는 경우 신흥국 및 국내경제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 국제 원자재가격 불안 재현
- 2023년 중국제 원자재가격이 높은 변동성을 나타내는 가운데 최근 원유를 비롯한 대부분 품목에서 가격 상승세가 확대되고 있다.
- 최근의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은 세계경기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공급측 요인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결과인 것으로 판단된다.
- 이와 같은 여건을 종합하면, 세계 수요 회복 여부가 불확실한 가운데 공급측 요인만으로도 향후 원자재가격 불안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 높아지는 제조업 부진 지속 가능성
- 세계 상품교역 및 세계 FDI(Foreign Direct Investment; 해외직접투자) 회복 기대감 약화로 최근 업황 둔화가 진행되고 있는 글로벌 제조업 부진 현상도 지속될 것으로 우려된다.
2. 시사점
- 현재 진행 중인 글로벌 리스크들은 올해는 물론 2024년에도 금융과 실물 등 전반에 걸쳐 국내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적절한 정책 대응을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한편 성장 잠재력을 훼손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728x90
LIST
'경제와 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상반기 창업기업동향 통계자료 (102) | 2023.09.16 |
---|---|
자본시장연구원 국내 M&A의 특징 분석과 시사점 인수자 관점에서 (96) | 2023.09.14 |
최고의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 5가지 추천 (와디즈, 오픈트레이드, 텀블벅, 오마이컴퍼니, 해피빈) (112) | 2023.09.12 |
네이버 AI 검색시스템 큐 CUE 제품 추천 로직 이해하기 (33) | 2023.09.10 |
가격대별 과일 한우 홍삼 한과 추석 선물 세트 10가지 추천 (85) | 2023.09.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