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차이가 있어서 그런지 지난 상승장에서 비트코인은 69,000달러가 고점이었고 한국 원화로는 8200만원이 고점이었습니다. 우리나라는 그제 전고점을 돌파해서 9,000만원을 찍었습니다. 가까운 나라 일본과 중국도 전고점을 돌파했고 오늘은 영국 등의 나라에서도 전고점을 돌파했습니다.
남은 것은 미국인데 69,000달러 전고점을 돌파하면 위로 저항이 없기 때문에 그 다음 목표치가 어디일까 궁금해집니다.
비트코인 1억 간다는 말이 거짓말 같지만 글쎄요. 1억은 기본이고 2억까지 갈지도 모르겠습니다. 유동성이 부족해서 당장은 아니겠지만 4월 반감기 전에 돌파를 하느냐 마느냐의 차지 같습니다.
지표 관련된 글은 지난 글이 있습니다.
지난 내용은 아래 글에서 참고하세요
https://nomadsdream.tistory.com/463
비트코인 거래할 때 보면 좋은 지표 3가지
지난 번 글을 작성했을 때 비트코인이 7500만원이었습니다. 그리고 글을 적는 지금은 8600만원을 넘었습니다. 제 글을 읽고 매수하신 분들은 버셨을겁니다. 수익 축하드리며 비트코인 거래할 때
nomadsdream.tistory.com
오늘 글에서는 매수와 매도 타이밍을 잡는 지표 3가지를 말씀드립니다.
이 지표들은 크립토퀀트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표를 보는 링크는 아래 사진에 링크를 모두 걸어두겠습니다.
MVRV(시장가치 대 실현가치)
MVRV 지표는 NUPL 지표와 함께 많이 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NUPL 지표에 대해서는 글에서 한 번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
https://nomadsdream.tistory.com/348
비트코인 분석 지표 미실현 순수익(NUPL)과 암호화폐 투자
비트코인을 분석하기 위한 지표 중 미실현 순수익 지표가 있습니다. 미실현 순수익(NUPL)은 시가총액과 실현 시가총액의 차이값을 다시 시가총액으로 나누어 계산한 지표입니다. 비트코인을 분
nomadsdream.tistory.com
MVRV 지표는 거래 타이밍을 볼 때 정말 많이 참고하는 지표입니다.
MVRV는 현재 가격(시장가치)과 모든 코인이 마지막으로 거래된 평균 가격(실현가치)를 비교하는 지표입니다.
MVRV 값이 높으면 (3.7이상) 시장 가격이 대부분의 사람이 코인을 매수할 때 가격 보다 높아졌다는 의미입니다.
시장이 과대평가 되었으니 매도할 사람들이 타이밍을 슬슬 잡을 수 있습니다.
MVRV가 낮으면 (1.0미만) 반대로 자산의 가치가 저평가 되었다는 의미이므로 매수할 타이밍을 잡을 수 있습니다.
MVRV 지표가 현재 2.6 정도입니다.
3.7로 비교하면 미치지 못하는 수치이지만 높아지고 있는 것이 보입니다.
1미만은 아니니 저평가는 아닙니다. 조금씩 고평가되고 있는 지점으로 가고 있습니다.
시장가 매수 매도 비율(Taker Buy Sell Ratio)
시장가 매수 매도 비율은 시장의 심리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거래하는 사람이 어떤 가격에서 구매하고 판매하는지를 보여줍니다.
Taker Buy Volume 은 구매자의 양이며, Taker Sell Volume은 판매자의 양입니다.
두 양을 비교함으로써 구매자나 판매자가 어느 쪽이 더 많은지를 활발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 양을 비교할 때,
1보다 높다면 구매자가 우세하다는 의미이며 구매자가 많으므로 수요 증가로 가격이 오를 수 있습니다.
1보다 낮으면 판매자가 우세하다는 의미로 매도 압력이 높아져 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지표를 보면 현재는 Taker Buy Volume이 1보다 높습니다.
조금 떨어지긴 했는데 1.03~1.04 수준입니다. 판매자 보다 구매자가 많아서 추가 가격 상승에 대한 기회가 아직은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예상 레버리지 비율(Estimated Leverage Ratio)
예상 레버리지 비율은 투자자들의 리스크 성향을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레버리지 투자는 빚으로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레버리지는 쓴다는 것은 위험을 감수한다는 의미입니다.
예상 레버리지 비율은 투자자가 얼마나 레버리지를 쓰는지를 알려주는 지표로 미결제 약정을 거래서 보유금으로 나누어 계산되는 지표입니다. 투자자들이 리스크를 감내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되고 이 값이 높으면 투자자들이 고위험 거래를 하고 있다는 의미로 변동성에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예상 레버리지 비율이 상승하는 추세이면 레버리지를 이용하는 투자자가 많아서 투자자가 자신의 포지션에 확신을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예상 레버리지 비율이 하락하는 추세이면 레버리지를 줄이거나 시장의 심리가 변하고 있거나 포지션 청산의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최근까지 상승하다가 하락하는 추세로 바뀌었습니다.
비트코인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여 숏 포지션을 잡은 투자자들이 많은데 비트코인이 계속 상승하여 시장의 변동폭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럴 때는 관망하는 자세도 필요하겠습니다.
무리하게 빚을 내서 롱이나 숏을 잡는 것은 지양해야겠습니다.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신 업비트 원화마켓 상장 코인 섹터 총정리 (2024년 3월) (26) | 2024.03.14 |
---|---|
거래대금으로 비트코인 매수 매도 포인트 잡기 (25) | 2024.03.06 |
비트코인 거래할 때 보면 좋은 지표 3가지 (29) | 2024.02.29 |
비트코인 투자 시 보면 좋은 지표 3가지 (30) | 2024.02.27 |
업비트가 선정한 2024년 가상자산 핫이슈 10가지 (52) | 2024.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