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

거래대금으로 비트코인 매수 매도 포인트 잡기

by 티꿈 2024. 3. 6.
반응형

비트코인이 어제 역대금 신고가를 달성했습니다.  미국 기준으로 69,000달러를 돌파한 이후 5% 이상의 조정을 맞이했습니다. 주식도 전고점을 돌파하면 저항에 부딪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비트코인 또한 잠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긴 했지만 반등하여 현재는 64~65k 에서 가격선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하락하면 놀라서 매도하는 분들도 있지만 현재 비트코인은 하락하면 강한 매수세가 뒷받침됩니다.

따라서 현재의 조정은 강한 상승을 위한 조정으로 보이지만 지켜봐야되겠습니다. 여기서 횡보할지 추가 상승하여 1억으로 갈지 말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여러 지표를 보며 매도, 매수 타이밍을 보는 것입니다. 

 

지표 관련된 글은 연속으로 적고 있기 때문에 지난 글도 함께 보는 것이 좋습니다.

https://nomadsdream.tistory.com/464

 

비트코인 매수 매도 타이밍 잡는 지표 3가지 추천

환율 차이가 있어서 그런지 지난 상승장에서 비트코인은 69,000달러가 고점이었고 한국 원화로는 8200만원이 고점이었습니다. 우리나라는 그제 전고점을 돌파해서 9,000만원을 찍었습니다. 가까운

nomadsdream.tistory.com

 

이 지표들은 크립토퀀트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표를 보는 링크는 아래 사진에 링크를 모두 걸어두겠습니다.

거래소 입금량 CDD

 

거래소 입금량이 매수, 매도와 무슨 관계가 있나 싶으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입금량은 비트코인의 이동량과 홀딩 기간을 반영한 거래소로 유입되는 비트코인을 말합니다. 

 

비트코인은 채굴하여 개인 지갑에 보관하고 있다가 판매하기 위해서는 거래소로 입금해야 합니다. 

거래소로 입금이 많이 되면 매도 압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최근에 채굴된 코인이 입금되는 것과 오래 전에 채굴된 비트코인이 입금되는 것은 또 다릅니다.

거래소 입금량 CDD는 오래 홀딩되었던 코인이 움직일 때 가중치를 더 두어서 값을 표시한 것을 의미합니다.

 

Coin Days Destroyed 지표도 지표지만 가장 쉽게는 크립토퀀트에서 거래소 총 입금량을 볼 수 있습니다.

 

 

총 입금량을 스케일을 넓혀서 보면 입금량이 굉장히 많았던 2022년은 가격이 좋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2022년 11월 이후 거래소 입금량이 줄기 시작하더니 거의 유지되는 모습을 보여왔습니다.

가격이 상승하는 시점에는 조금씩 거래소에 입금이 되곤 했지만 현재는 입금량이 거의 수준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거래소 입금량 증가는 매도세가 강해질 수 있다는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거래소 입금 거래수

앞의 내용과 유사한 내용일 수 있습니다.

거래소에 입금되는 입금 거래수를 보면 비트코인의 방향을 알 수 있습니다. 

 

입금량이나 입금 거래나 별반 차이가 물론 없습니다만, 거래소 입금 거래수는 거래소에 코인을 입금한 거래내역을 의미합니다. 이 값이 높으면 현물 거래소에서 코인을 매도하는 사람이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입금량이 증가하면 매도 압력이 높아지는 것과 같습니다. 

 

비트코인의 입금 거래수가 증가한다면 매도 압력이 높아지는데, 스테이블 코인의 입금 거래가 늘어나면 매수세가 붙는 것을 의미합니다.

 

 

입금량 차트 보다는 조금 더 직관적으로 보입니다.

입금 거래 내역이 감소할 수록 가격이 올랐습니다. 

가운데 교차하는 지점이 보이는데 이 때가 2023년 5월 경입니다. 

비트코인이 40k 정도는 지난 시점, 우리나라 가격으로는 4500만원 부근입니다.

 

이 때 샀어도 2배를 갔다는 사실. 엄청납니다. 

거래소 순입출금량(Netflow)

 

가격이 매우 낮으면 거래소에서 비트코인을 구매한 후에 개인지갑으로 옮길 것입니다. 

가격이 낮을 때 사놓고 비쌀 때 거래소로 옮겨놓으면 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지표가 바로 거래서 순입출금량입니다.

거래소에서 입금된 코인 양에서 출금된 양을 뺀 값으로 이 수가 양수일 때 거래소의 총 보유량이 증가합니다. 

이 값이 높으면 코인의 매도 압력이 증가합니다.

 

차트가 복잡해보이지만 링크를 타고 가서 보면 숫자가 양과 음이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가격이 떨어지는 시점과 오르는 시점의 녹색, 빨간색 선이 아래 위로 바뀌는 것이 확인되는데 스케일을 좁혀서 보시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글을 적는 현재 시점으로 비트코인은 63k 부근에서 공방 중입니다.

어제 고래가 매도했다는 소식에 잠시 하락했는데 오히려 개미들에게 매수의 기회가 되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반감기 4월이라 4월 전에 전고점을 돌파했습니다. 이제는 4월 전에 어디까지 고점을 찍은 후에 반감기를 맞이하느냐의 관점입니다. 알트 코인들이 올라가야 할텐데 과연 어떻게 될까요?

 

비트코인이 여기서 횡보해주면 좋겠습니다. 

728x90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