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현물 ETF 통과 이후 코인 가격이 무섭게 올라 현재는 US 달러로 73,000달러 수준, 한화로 김치 프리미엄을 더해 1억 이상에서 비트코인이 거래되고 있습니다.
포스팅을 통해 지난 해부터 반감기 호재와 현물 ETF 호재가 있으니 매수를 권유드렸고 매수하신 분들은 돈을 벌었습니다.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가를 돌파하자 코인 투자에 관심을 갖고 투자하려는 분들이 있으실텐데 가장 접근하기 쉬운 플랫폼은 단연 업비트입니다.
하지만 어떤 코인을 사야할지 모르겠고, 또 그 사이에 새로운 코인들이 생겨서 이건 뭐야 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2024년 3월 기준으로 업비트 코인 투자 섹터를 나누고 섹터별 코인을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코인 투자 섹터 나누기
업비트에 상장되어 있는 코인의 섹터는 다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암호화폐 섹터 : 화폐성으로 개발된 코인으로 대표적으로 비트코인이 대장주입니다.
- 레이어 1 섹터 : 플랫폼 코인이라 부르는 코인의 섹터로 대장주는 이더리움(ETH)입니다.
- 레이어 2 섹터 : 이더리움의 보완재, 레이어2는 이더리움의 네트워크 혼잡성을 개선해줍니다. 대표주는 폴리곤(MATIC)입니다.
- 유틸리티 토큰 섹터 : 유틸리티 토큰은 메인넷이 없는 토큰으로 레이어 1 에서 발행된 토큰들입니다.
- 증권형 토큰 : 증권형 토큰(STO)은 앞으로 유망한 섹터인데, 최근에는 STO라는 단어와 함께 RWA(Real World Asset)의 개념이 함께 사용되고 있습니다. RWA를 토큰화한 것이 STO입니다.
- 블록체인 게임, NFT 섹터 : 지난 반감기 이후 상승장에서 대세였던 NFT입니다. 최근에는 NFT 섹터가 BRC-20을 중심으로 인스크립션으로 넘어간 상황입니다.
- 인증서비스 섹터 : 분산원장 기술을 신원 인증에 접목한 섹터입니다.
- DeFI 섹터 : 탈중앙화 금융을 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섹터입니다. 국내에서는 크게 활성화되어있지 않아 현재까지는 접하기 어려우실 수 있습니다.
- DEX 섹터 : 탈중앙화 거래소에서 쓰이는 거버넌스 코인들이 DEX섹터입니다.
- IoT 섹터 : 사물인터넷에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술을 접목한 섹터입니다.
- 데이터 저장 섹터 : 데이터 저장 서비스는 블록체인과 더불어 최근 클라우드와도 시너지를 내려고 하고 있습니다.
- 연산력 임대 섹터 : 연산력 임대 분야가 AI로 인해 최근 수혜를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연산력 임대일 수 있지만 인공지능 분야로도 해석됩니다.
- 소셜 섹터 : 소셜 분야에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술을 접목한 섹터입니다.
- 웹 3.0 섹터 : 웹 3.0은 레이어1, 2를 통해 구현되지만 웹 3.0을 표방한 섹터입니다.
- 밈 섹터 : 밈 코인으로 불리는 섹터입니다. 변동성이 매우 크며 뚜렷한 기술력은 없어 투자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업비트 코인 투자 섹터
정리하는 섹터는 지난 글과 마찬가지로 원화 마켓에 상장된 코인만 정리해보았습니다.
그리고 요주의 종목에 대해서는 별표를 별도로 표시해두었습니다. 전고점을 돌파했거나, 돌파를 앞두고 있거나, 최근에 큰 폭으로 상승했거나 이슈가 있는 코인들입니다.
암호화폐 섹터
거래를 위해 개발된 코인들을 말합니다.
- 비트코인(BTC) : 대표적인 암호화폐 (★ ★ ★)
- 비트코인에스브이(BSV) : 비트코인 캐시(BCH)에서 하드포크되어 나온 암호화폐
- 비트코인캐시(BCH) : 비트코인에서 하드포크된 암호화폐
- 이캐시(XEC) : 비트코인캐시ABC에서 리브랜딩된 암호화폐
- 비트코인골드(BTG) : 비트코인 하드포크를 통해 탄생한 암호화폐
비트코인과 비트코인에서 갈라져 나온 형제들입니다.
비트코인이 상승하면 비트코인을 추종하여 상승합니다. 하지만 반드시 커플이되진 않으니 주의하세요
- 리플(XRP) : 거래 및 송금용 암호화폐
- 스텔라루멘(XLM) : 리플에서 하드포크된 암호화폐
- 그로스톨코인(GRS) : 세그윗 활성화를 통해 빠른 결제가 가능하게 하는 암호화폐
송금용 코인으로 리플과 스텔라루멘을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리플은 리또속이라는 별명이 있습니다. 오랜 시간 가격 상승폭이 제한적이어서 옛 코인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코인은 트렌드를 타는데, 옛 코인으로 분류되면 즉 핫한 섹터에서 멀어지면 상승폭이 제한적입니다.
레이어 1 섹터(플랫폼 코인)
레이어 1 섹터는 이더리움(ETH)이 대장주입니다. 3월 13일 덴쿤 업그레이드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서 레이어2의 속도 및 가스비가 개선되어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훨씬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레이어 1 섹터는 생태계를 구축해야하고 이 생태계가 매력적이어야 합니다.
지난 반감기에서는 이더리움이 주목을 받았는데, 최근에는 이더리움 킬러인 솔라나가 전고점을 돌파하며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 이더리움(ETH) : 플랫폼 코인 대장 (★ ★ ★)
- 이더리움클래식(ETC) : 이더리움에서 하드포크되어 나온 플랫폼 코인
- 솔라나(SOL) : 전고점 돌파한 핫한 코인 (★ ★)
- 카르다노(ADA) : 보안성이 좋고 강성 홀더가 많은 코인입니다. 묵묵히 상승하는 무거운 코인입니다 (★)
- 스택스(STX) : 비트코인 디앱개발 플랫폼 코인 (비트코인이 상승할 때 따라서 상승함) (★ ★ ★)
- 앱토스(APT) : 플랫폼 코인 (메타 개발자 출신 설립, 수이와 비교되는 코인이지만 조금 더 낫다는 반응)
- 수이(SUI) : 메타 개발자 출신 설립, 앱토스와 결은 같지만 유통량 이슈 있었습니다 (수세미 메타 ★ )
- 세이(SEI) : 디파이 플랫폼 코인 (수세미 메타 ★ )
- 미나(MINA) : 경량 블록체인 플랫폼 코인 (수세미 메타 ★ )
- 스트라티스(STRAX) : 블록체인 개발 플랫폼 코인, 최근에 마이그레이션 이슈 있음 (★)
- 웨이브(WAVES) : 플랫폼 코인 (스테이블 코인 USDN과 연결, 러시아 계열)
- 아크(ARK) : 사이드 체인 프로그래밍 플랫폼 코인
- 넴(NEM) : 개인개발자 맞춤형 블록체인 개발 플랫폼 코인 (옛 코인)
- 이오스(EOS) : 플랫폼 코인 (뽀삐라는 별칭있음, 옛 코인)
- 아더(ARDR) : 오픈소스 멀티체인 플랫폼 코인
- 아이콘(ICX) : 플랫폼 코인 (김치 코인)
- 솔라(SXP) : 이더리움 확장성 문제 해결 프로젝트 코인 (바이낸스가 뒷배)
- 폴카닷(POL) :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인터체인 플랫폼 코인
- 하이브(HIVE) : 스팀에서 하드포크된 플랫폼 코인, 웹 3.0 조금 묻어있음 (하이브엔터와 무관함)
- 알고랜드(ALGO) :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코인 (프로젝트가 예전 같지 않음)
- 코스모스(ATOM) : 인터체인 네트워크 플랫폼 코인 (애칭 아톰, 옛 코인)
- 질리카(ZIL) : 샤딩을 도입한 블록체인 플랫폼 코인
- 셀로(CELO) : 오픈 블록체인 플랫폼, 최근에 USDT 발행된 이력 있음 (★)
- 아발란체(AVAX) : 플랫폼 코인, 2022년 가격 수준 회복 (ok 캐시백과 연결) (★)
- 피르마체인(FCT2) : 전자계약, 데이터 저장소 플랫폼 코인
- 니어프로토콜(NEAR) : 플랫폼 코인 (USN 스테이블 코인과 연동)
- 헤데라(HBAR) : 플랫폼 코인 (미국계 코인)
- 비체인(VET) : 물류 시스템 플랫폼 코인
- 리스크(LSK) : 오픈소스 플랫폼 코인 (프로젝트 죽었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 쿼크체인(QKC) : 플랫폼 코인
- 멀티버스엑스(EGLD) : 플랫폼 코인
- 테조스(XTZ) : 플랫폼 코인
- 엘프(ELF) : 분산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 코인
- 크로노스(CRO) : 온라인 결제 플랫폼 코인 (최근 미국에서 홍보를 많이 하는 코인입니다)
- 아스타(ASTR) : 일본을 대표하는 코인으로 zkEVM을 활용해 메인넷 론칭, 소니와 협업 호재 있음 (★ ★)
레이어 2 섹터
레이어 2 섹터는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
이더리움의 보완재이며, 이더리움을 추종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 폴리곤(MATIC) : 이더리움 레이어 2 코인, 국내 기업들과 협업 많이함 (★)
- 아비트럼(ARB) : 이더리움 레이어 2 코인, 락업 해체 이슈가 있어 가격 하락 유의 (★ ★ )
옵티미즘은 업비트에 없고 빗썸에 있습니다.
유틸리티 토큰 섹터
유틸리티 토큰은 특정 기능이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용도로 나온 토큰입니다.
메인넷이 없어 레이어1 코인을 기반으로 발행됩니다. 따라서 이더리움 계열, 솔라나 계열 이런 식으로 불립니다.
이더리움 계열이면 이더리움 코인 가격을 추종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코인 가격이 하락하면 더 큰 폭으로 하락하니 투자에 유의가 필요합니다.
- 룸네트워크 : 게임 플랫폼 토큰 (이더리움 계열)
- 오브스(ORBS) : 퍼블릭 블록체인 인프라 솔루션 토큰 (이더리움 계열)
- 아르고(AERGO) : 오픈소스 하이브리드 플랫폼 토큰 (이더리움 계열)
- 스톰엑스(STMX) : 디지털 자산을 쇼핑과 연계한 토큰 (이더리움 계열)
- 에스티피(STP) : DAO를 구축할 수 있는 플래폼 토큰 (이더리움 계열)
- 헌트(HUNT) : 웹3 개발자 길드 프로젝트 토큰 (이더리움 계열)
- 디카르고(DKA) : 물류 네트워크 프로젝트 토큰 (이더리움 계열)
- 밀크(MLK) : 기업 마일리지 연결 토큰 (루니버스 계열, 김치 토큰입니다)
- 메탈(MTL) : 송금, 거래용 토큰 (이더리움 계열, 미국에서 실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캐리 프로토콜(CRE) : 데이터 기반 광고 토큰 (이더리움 계열)
- 쓰레스홀드(T) : 프라이버시 레이어 구축 토큰 (이더리움 계열)
- 토카막네트워크(TON) : 이더리움 사이드체인 토큰, 톤에서 리네임되었습니다 (이더리움 계열, 김치 토큰)
- 비트토렌트(BTT) : 파일 공유 보상 토큰 (트론 계열)
- 펀디엑스(PUNDIX) : P2P 페이먼트 토큰 (이더리움 계열)
- 아하토큰(AHT) : 참여자 보상형 Q&A 토큰 (루니버스 계열, 김치토큰)
- 무비블록(MBL) : 블록체인 기반 P2P 영화 배급 토큰 (온톨로지 계열)
- 스트라이크(STRK) : 분산 단기 금융 프로젝트 토큰 (이더리움 계열)
- 코박토큰(CBK) : 디지털 자산 정보, 시세 조회 등 서비스 제공 토큰 (이더리움 계열)
- 엠블(MVL) : 블록체인 기반 모빌리티 토큰 (이더리움 계열, 김치 토큰)
- 센티넬프로토콜(UPP) : 디지털 자산 보안 프로젝트 토큰 (이더리움 계열)
증권형 토큰 섹터
증권형 토큰은 STO라고 해서 앞으로 유망한 섹터지만 RWA와 연관되어 있고 해결해야 할 정책적인 과제가 많아 이슈는 되고 있지만 선뜻 투자가 쉽지는 않은 섹터입니다. 하지만 유망하기 때문에 꾸준히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STO가 가능해지려면 기본적으로 레이어1, 2에서 돌아가야하고 별도의 솔루션 등이 필요합니다.
업비트에서는 폴리매쉬가 STO의 관계 종목이며 폴리곤, 아발란체도 이름에 오르고 있습니다.
- 폴리매쉬(PLOYX) (★ ★)
블록체인 게임, NFT 섹터
블록체인 게임 및 NFT 섹터입니다. 코인은 트렌드를 타는데 P2E, NFT 섹터가 예전같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시장의 관심이 돌아올지 여기서 마무리 될지는 지켜보아야 합니다.
확실한 것은 블록체인 게임은 앞으로도 개발이 될 것입니다.
업비트에는 없지만 국내 게임회사 중 위믹스(WEMIX)가 앞서나가있고 그 뒤를 컴투스 코인인 엑스플라(XPLA)가 추격하고 있습니다. 언젠가 엑스플라(XPLA)도 업비트에 상장될텐데, 엑스플라는 빗썸에 있습니다.
- 엑시인피니티(AXS) : 엑시인피니티 게임 토큰 (이더리움 계열)
- 블러(BLUR) : NFT 마켓 플레이스의 거버넌스 토큰 (이더리움 계열) (★)
- 샌드박스(SAND) : 샌드박스 메타버스, 게임 토큰 (이더리움 계열, NFT 대장 코인)
- 디센트럴랜드(MANA) :메타버스, 게임 토큰 (이더리움계열, 프로젝트 진행되는지 확인이 안됨)
- 플로우(FLOW) : 게임, 디앱 개발을 지원하는 코인 (삼성이 투자한 이력이 있으나 가격 대폭락)
- 스테픈(GMT) : M2E 에 사용되는 토큰 (솔라나 계열)
- 모스코인(MOC) : 가상 부동산 프로젝트 토큰 (루니버스 계열, 김치 토큰)
- 알파쿼크(AQT) : NFT 프로젝트 토큰 (이더리움 계열)
- 이뮤터블엑스(IMX) : NFT발행과 거래에 특화된 토큰 (이더리움 계열) (★)
- 왁스(WAXP) : 블록체인 기반 게임 개발 플랫폼 코인
- 썬더코어(TT) :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코인
- 보라(BORA) : 클레이튼 계열 콘텐츠 발행 플랫폼으로 게임에 접목 (클레이튼 계열)
인증서비스
인증 서비스는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하여 신원 인증을 하는 기술로 지난 반감기 상승장 이후에는 각광받는 기술이었지만 현재는 주목을 받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 메타디움(META) : 블록체인을 활용한 분산형 신원 인증(DID) 코인
- 시빅(CVC) : 디지털 지갑 및 신원 보증 관련 토큰 (이더리움 계열)
Defi 섹터
탈중앙화 금융(Defi) 섹터는 금융의 대안처럼 여겨졌지만 폭락장 이후 그렇다할 이슈가 되고 있진 않습니다.
최근 비트코인 상승 후에 다시 관심을 받고 있지만 예전처럼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 하이파이(HIFI) : 디지털 자산 담보 대출 플랫폼, 거버넌스 참여용도 토큰 (이더리움 계열)
- 카이버((KNC) : 탈중앙화 거래소 토큰 (이더리움 계열)
- 1인치네트워크(1INCH) : 디파이 프로젝트 (이더리움 계열)
- 에이브(AAVE) : 디파이 프로토콜 토큰 (이더리움 계열)
- 카바(KAVA) : 디파이 플랫폼 (코스모스 계열)
DEX 섹터
탈중앙화 거래소에서 사용되는 코인들입니다. 최근에 대폭 상승한 제로엑스가 DEX 섹터입니다.
- 제로엑스(ZRX) - 탈중앙화 거래소 플랫폼 토큰 (이더리움 계열)
IoT 섹터
사물인터넷 섹터입니다만 파워렛저의 경우 환경과도 연결되어 있어 이슈가 있을 때 마다 가격이 큰 폭으로 뜁니다.
- 파워렛저(POWR) : 에너지 및 환경 상품 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 플랫폼 토큰 (이더리움계열)
- 아이오에스티(IOST) : 서비스의 인터넷 프로젝트 코인
- 아이오타(IOTA) : IOT 기기 간 처리 네트워크 프로젝트 코인
데이터 저장 섹터
클라우드와 연결되어 있는 섹터입니다. 최근이 시아 코인도 가격이 많이 상승했습니다.
- 스토리지(STORJ) : 탈중앙화 클라우드 플랫폼 토큰 (이더리움 계열)
- 시아코인(SC)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코인
AI, 연산력 임대 섹터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섹터가 이 섹터입니다.
인공지능이 이슈가 되면서 인공지능 관련 코인이 업비트에서도 폭발적으로 가격이 상승했는데 업비트에서는 현재 4개 코인이 인공지능 메타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 골렘(GLM) : 분산 컴퓨팅 자원 연결에 쓰이는 토큰 (이더리움 계열) (★★★)
- 앵커(ANKR) : 분산형 클라우드 프로젝트 토큰 (이더리움 계열) (★★★)
- 아이큐(IQ) : 탈중앙화 위키피디아 토큰 (이오스 계열) (★★★)
- 더그래프(GRT) : 데이터를 API 형태의 쿼리로 지원하는 플랫폼 토큰 (이더리움 계열) (★★★)
4개의 코인 중에서 시가총액이 큰 것은 더그래프입니다.
하지만 코인의 상승폭을 보면 아이큐, 골렘, 앵커가 상승탄력은 좋습니다.
프로젝트의 지속성을 잘 살펴보면서 투자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4개의 코인이 동시에 상승하진 않습니다. 순환매형태로 상승하는데 아이큐가 하루 가면 다음에 더그래프가 가고 이런 방식이며, 꼭 코인들이 따라서 상승하지 않으니 메타로 분류하여 투자하시면 힘드실 수 있습니다.
소셜 섹터
소셜 섹터에 대한 시도는 좋았지만 이 섹터는 앞으로의 미래가 뚜렷하게 그려지진 않습니다.
과연 살아남을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스팀 코인은 투자할 때 확실히 조심하시긴 해야합니다.
- 스팀달러(SBD) : 스팀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토큰 (스팀 계열)
- 스팀(STEEM) : 탈중앙화 소셜 플랫폼 코인
-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SNT) : 소셜 메시지 프로젝트 토큰 (이더리움 계열)
웹3.0 섹터
웹 3.0 코인이 주목을 많이 받고 있는데 현재까지 그렇다할 결과를 보여준 것은 없습니다.
웹 3.0이 가시화되려면 다음 상승장에서 주목을 받을 만한 기술적 약진이나 결과물이 있어야 하는데 현재 시장은 인공지능에 주목하지 웹 3.0에 주목하지 않습니다.
- 마스크네트워크(MASK) : SNS에서 암호화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토큰 (이더리움 계열, 웹3.0)
- 베이직어텐션토큰(BAT) : 브라우저 보상 제공 토큰 (이더리움 계열)
- 스페이스아이디(ID) : 웹 3.0 생태계 내에서 여러 네임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서비스(이더리움 계열) (★)
밈 코인 섹터
2021년 코인 시장의 상승을 주도한 밈 코인 섹터입니다.
비트코인이 전고를 돌파하자 이 섹터도 날뛰기 시작했는데 지난 상승장이 도지의 시간이었다면 이 번 상승에서는 시바이누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 도지코인(DOGE) : 비트코인을 본따 만든 밈코인 (일론 머스크가 입 털면 상승)
- 시바이누(SHIB) : 밈 코인에서 플랫폼화가 되고 있는 토큰 (이더리움 계열)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인스크립션이 밈 코인섹터에서는 핫합니다.
BRC-20 계열의 코인을 중심으로 레이어 1 코인들은 인스크립션들이 나오는데 이 코인들이 크게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가격 변동폭도 심하고, 프로젝트가 한순간에 나락으로 갈 수도 있으니 투자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중국계 코인 섹터
중국계 코인입니다. 이슈가 있을 때 마다 동반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온톨로지와 온톨로지 가스, 가스는 함께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퀀텀(QTUM) : 플랫폼 코인 (중국계 코인)
- 네오(NEO) : 듀얼 토큰 매커니즘 블록체인 플랫폼 코인 (중국계 코인)
- 가스(GAS) : 네오 플랫폼의 수수료 및 인센티브 용도 (네오 계열)
- 트론(TRX) : 엔터산업을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 코인 (중국계 코인)
- 저스트(JST) : 트론 스테이블 코인 플랫폼 토큰 (트론 계열)
- 온톨로지(ONT) : 블록체인 네트워크 코인
- 온톨로지 가스(ONG) : 온톨로지 플랫폼의 거래 수수료 용도 (온톨로지 계열)
콘텐츠 코인 섹터
콘텐츠를 대표하는 섹터는 쎄타가 대표적입니다.
최근에 큰 상승률을 하루 이틀 보여주었는데 쎄타가 콘텐츠를 또 어디에 접목을 시킬지 관심을 갖고 지켜볼 필요는 있습니다.
- 쎄타토큰(THETA) : 탈중앙화 스트리밍 프로젝트 코인
- 쎄타퓨엘(TFUEL) : 쎄타 플랫폼의 수수료 토큰 (쎼타 계열)
오라클 섹터
오라클 섹터입니다. 외부 데이터를 블록체인 내부로 가져와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코인으로 체인링크가 대장주이지만 최근에 상장한 피스 네트워크 또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 체인링크(LINK) : 스마트 컨트랙트와 데이터 출처를 연결하는 토큰 (이더리움 계열) (★★)
- 피스네트워크(PYTH) : 오프체인 금융 데이터를 가져오는 오라클 프로젝트 (솔라나 계열) (★★)
스포츠, 의료, 헬스케어 섹터
스포츠, 의료, 헬스케어 분야입니다.
이 분야는 갈 것 같으면서 안 가고 안 가는 것 같은데 살아있는 섹터입니다.
칠리즈는 메인넷이 있지만 그 이후로 또 빅 이슈는 없습니다.
- 히포크랏(HPO) : 글로벌 헬스 데이터 생태계 프로젝트 토큰 (이더리움 계열)
- 메디블록(MED) : 의료 데이터 플랫폼 토큰 (코스모스 계열)
- 칠리즈(CHZ) : 스포츠 엔터를 위한 플랫폼 토큰 (이더리움 계열, 메인넷은 구축되어 있음)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반감기 D-17일 지표로 보는 비트코인 상황 (25) | 2024.04.03 |
---|---|
컴투스 코인 엑스플라(XPLA) 2024년에 1달러 간다 (23) | 2024.03.18 |
거래대금으로 비트코인 매수 매도 포인트 잡기 (25) | 2024.03.06 |
비트코인 매수 매도 타이밍 잡는 지표 3가지 추천 (28) | 2024.03.01 |
비트코인 거래할 때 보면 좋은 지표 3가지 (29) | 2024.0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