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

비트코인 이더리움 20240809 시황 (미국 실업수당청구건수 감소)

by 티꿈 2024. 8. 9.
반응형

블랙먼데이가 지난 후 5일째입니다.

어제는 미국의 실업수당청구건수 지표의 발표가 있었습니다.

미국의 실업수당청구건수 2

 

네이버에서 발표된 자료를 보면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지난 해 동년 대비로 보아도 큰 차이가 없습니다.

소폭 상승했다고 볼 수 있지만 이전 6월이나 7월과 비교해보아도 실업수당청구건수가 급증한 것은 아니므로 이는 곧 고용 시장이 여전히 튼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 ISM 비제조업 구매자지수미국 ISM 비제조업 구매자지수 2

 

미국은 서비스업 국가입니다. 전통 제조도 중요하지만 서비스업 지수가 경기의 향방을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미국 ISM 비제조업 구매자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해서 크게 떨어지지도 않았습니다. 전월 대비해서 상승하였으므로 이 또한 경기 침체라고 보기 아직 이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온체인 지표(20240809) 

비트코인 온체인 지표(20240809)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의 감소로 경기침체 우려가 완화된 오늘이었습니다. 

증시와 암호화폐 시장 모두 상승하였습니다. 아침일찍 일어나신 분들은 10% 이상 장대양봉을 보셨을 것 같습니다. 

업비트 기준으로 알트 코인은 20% 가까운 높은 상승을 모두 보여주고 있습니다. SOPR 보정값은 지표가 나쁜데 저점에서 잡은 단기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시장이 이렇게 장대양봉을 그리면 추세를 다시 정해야 하므로 거래량도 늘어나고 거래수도 활성화됩니다.

동시에 펀드 프리미엄도 증가하므로 안심은 해도 되지만 여전히 잘 관찰해야 된다고 시장을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이더리움 온체인 지표(20240809)

이더리움 온체인 지표(20240809)

 

이더리움입니다.

이더리움은 점프 트레이딩의 매도세가 조금 완화는 되었습니다. 하지만 전체 물량의 15% 수준 밖에 되지 않아서 여전히 매도 압력이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마곡 물량도 ETH가 있기 때문에 이더리움은 현물 ETF에 순유입이 증가하고 금리인하 효과까지 겹쳐야 상승을 꾀할 수도 있겠습니다.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으로 단기 차익을 보려고 들어오신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저 또한 비중을 실어서 들어갔지만 2~3일 동안 움직임이 없어서 조금 더 기다려보자 하던 찰나에 수직으로 꽂아버리는 경험을 했습니다. 코인이 -20~30% 박는 것이야 하루 이틀은 아니지만 현물 ETF가 승인이 된 마당에, 점프 트레이딩 물량도 출하되고 그레이스케일발 매도세가 보태어지니 이더리움의 가격 하락이 더욱 뼈아팠습니다. 

 

현재는 370만원선까지 올라왔지만 아직 올라갈 길이 멉니다. 비트코인이 지난 상승장 전고점 위에서 놀고 있습니다. 

8600만원대에서 1억을 넘는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데 실은 이더리움도 이미 700만원이나 1,000만원을 가야합니다. 

하지만 무언가 힘이 부족한 느낌인데 금리인하에 따른 유동성을 노리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8월 말~ 9월 정도에 시세가 한 번 나오게 된다면 매도를 해야할까요. 역시 이더리움도 알트라는 생각을 다시 한 번 해보게 됩니다. 

 

728x90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