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

비트코인 이더리움 시황, 경기 침체 아니라는데 왜(2024년 8월 16일 시황)

by 티꿈 2024. 8. 16.
반응형

블랙먼데이 폭풍이 지나간 후 각종 지표의 발표가 있던 한 주였습니다.

미국 ISM 지수도 잘 나왔고, 생산자물가지수 PPI도 잘 나왔고, CPI도 잘 나왔습니다.

예상치보다 서서히 하회하고 있어서 물가가 조금씩 잡히는 모습입니다.

경기 침체 위기도 지금 벗어난 상황이라 나스닥은 반전하여 상승했는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왜 이런지 모르겠습니다.

비트코인 온체인 지표(20240816) 

비트코인 온체인 지표(20240816)

 

비트코인 온체인 지표입니다. 

단기 매도세가 완화되었다고 하지만 거래소 순출입금양이 있어서 매도 압력은 여전한 상황입니다.

다만 SOPR 보정값과 바이너리 CDD를 보면 우려할 만한 대량 매도세는 현재는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김프로 방어가 되다보니 김프가 현재는 조금 높습니다. 롱숏에 대한 펀딩비도 높고. 

무엇보다 채굴자 매도세가 조금 증가한 모습인데 전체적인 그림으로 보았을 때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그래도 관심있게 지켜보아야 할 단계입니다. 

 

비트코인 온체인 지표(20240816) 2

 

미실현 순수익 NUPL 지표는 고평가냐 저평가냐를 볼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1에 가까울 수록 고점, 0으로 가까울 수록 저점인데 통상 상승장에서 0.7에 가까워진 점을 감안하면 현재는 긴장단계라서 향방을 알 수 없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0.5 보다는 아래이니 저평가라고 할 수 있지만 0.7로 보면 고평가 단계라 롱도, 숏도 가늠할 수 없습니다. 

 

유명 트레이더들의 분석에 따르면 상승하려고 하면 저항에 계속 부딪힌다고 합니다.

특정 매물대에 매물이 많이 쌓여서 가격을 오르지 못하게 하고 있다는 뜻인데 이 해석이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비트코인이 상승하는 기염을 토했으면 합니다. 

 

100K는 가야하는데 너무 꿈만 같은 이야기일까요?

 

이더리움 온체인 지표(20240816)

이더리움 온체인 지표(20240816)

 

이더리움의 온체인 지표입니다. 

거래소 순출입금량이 높습니다. 점프 트레이딩, 윈터..등등 너도나도 팔고 있는 느낌이라 기분이 썩 좋진 않습니다. 

현물 ETF 통과한 이후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재료 소멸인지 이더리움은 승인 이후 하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김프로 겨우 방어하는 수준인데 한편으로는 펀딩비가 안정되어 조금은 하락세가 멈추었나 싶기도 합니다. 

 

스테이킹 기능이 빠진 ETF라서 저조하다는 말도 있는데, 가격 하락에는 경기 침체발 우려로 블랙먼데이 때 꽂은 것이 1차 원인이고 2차는 그레이스케일발 매도세입니다. 순유출이 워낙 많아서 어마어마하게 팔아먹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손바뀜이라고 보고, 월가의 대형 금융기관들이 매수를 하고 있으니 시세를 올해 안에 거하게 한 번 들어올려주었으면 합니다. 비트가 전고를 돌파했다면 이더리움이 7~800은 가야하는데 이러고 있으니 답답하기 그지없습니다.

 

728x90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