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 기업

대중 교통비 환급해주는 K 패스 사업 혜택 확대 2025년

by 티꿈 2025. 1. 6.
반응형

2025년을 맞이하여 대중교통비를 환급해주는 K 패스 사업이 확대됩니다. 

포스팅에서는 K 패스 사업을 정리해봅니다.

K 패스 사업이란?

대중교통 활성화 및 교통비 부담 완화를 위해 걷거나 이동한 거리에 관계없이 이용한 대중교통비의 일정비율(20~53%)을 환급해주는 사업입니다. 

K 패스 사업이란?

단, 대중교통 이용요금 월 20만원까지는 이용요금으로 전액 인정되지만 20만원을 초과하여 이용하는 경우 이용 요금의 50%만 인정하여 환급됩니다.

 

K 패스 환급 조건은?

대중교통비를 환급받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나이 : 만 19세 이상인 성인에 한해서만 지원(어린이, 청소년 미해당)

(2) 거주지 : K 패스에 참여하고 있는 210개 시, 군, 구 주민 이용 가능

(3) 횟수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우 환급 가능하며 최대 60회(일 최대 2회)까지 환급(60회 이상 이용한 경우 높은 금액 순 환급), 회원가입 첫 달의 경우 월 15회 미만 이용시에도 환급 가능함

K 패스에 해당하는 교통수단은?

K패스는 전국 지하철, 광역버스, 시내버스, 마을버스, GTX 등에 적용됩니다.

별도 승차권을 발권해야하는 고속, 시외버스, 공항버스, KTX, SRT 등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K패스 회원이라면 회원의 거주지 외 전국 어디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더라도 K 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K 패스 이용 방법은?

K 패스 전용 카드(신용, 체크, 선불형 교통카드) 발급 후 회원가입만 하면 대중교통 이용 시 추가적인 절차 없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은 K패스 앱 또는 누리집에서 이용가능합니다. 

 

K패스 전용 카드는 총 27개로 현재 총 10개의 카드사에서 발급 중입니다.

(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BC, KB국민, NH농협, 이동의즐거움, DGB유페이)

 

2025년 2월 부터 카드 5종은 추가됩니다. (롯데, 레일플러스, 카카오뱅크, iM뱅크, 네이버페이)

 

(1) 후불카드 : 일반적인 신용, 체크카드로 카드사 앱, 누리집에서 발급 가능하며 일부 카드사(신한, 국민, 농협, 우리, 하나 등)는 은행에서도 발급가능합니다.

(2) 선불카드 : 모바일 앱(모바일 이즐, 카카오페이, iM원패스)에서 모바일 선불카드를 발급받거나 편의점, 인터넷(캐시비샵), 지하철 역사(대구지역) 등에서 실물형 선불카드 발급 가능합니다.

K패스 2025년 다자녀 혜택 추가

2025년을 맞이해 국토부는 기존 일반, 청년, 저소득층에 더하여 K패스 내 다자녀 가구 유형을 신설, 별도의 환급률을 적용하여 혜택을 확대합니다. 

 

다자녀 가구 유형에 해당하는 자는 총 자녀가 2명 이상이며 그 중 1명 이상이 만 18세 이하인 성인(부모만 해당)입니다.

다자녀 유형의 환급률은 자녀가 2명인 경우 20%, 자녀가 3명 이상인 경우 50%로 일반층 대비 각각 10%p, 30%p 높은 환급률이 적용됩니다. 

 

(자녀가 3명 이상인 이용자가 요금 1,500원인 대중교통 60회를 탑승할 경우, 다자녀 유형 신설 전후 27,000원 추가 환급 가능)

K패스 2025년 다자녀 혜택 추가

728x90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