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

이더리움 테스트넷 골리(Goerli) 머지(Merge) 완료 POS 문제없나

by 티꿈 2022. 8. 11.
반응형

2022년 암호화페 업계에서 가장 큰 뉴스라면 이더리움의 머지(Merge)라고 할 수 있습니다

 

머지는 PoW(작업증명) 방식의 합의알고리즘을 PoS(지분증명)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을 말하며,

합의알고리즘이 적용되고 나면 네트워크가 하드포크(Hard fork)되어 새로운 규칙으로 블록을 생성하게 됩니다

 

지난 비트코인 반감기 이후 상승장에서도 이더리움의 합의알고리즘 변경은,

단골 소재였습니다 

 

한다 아니다 말이 많았지만 결국 하지 못했고 그 이슈가 4년이 지난 2022년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wen merge

 

하지만 최근, 

Wen Merge? 사이트를 통해서 이더리움의 테스트넷 중 하나인 골리(Georli)의 머지가 완료되었다고 발표되었습니다

테스트넷이 PoW(작업증명) 합의알고리즘에서 PoS(지분증명)으로 전환하여 테스트를 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더리움 테스트넷에는 세폴리아, 롭스텐 그리고 골리가 있습니다

이 중 골리는 마지막 단계에서 테스트를 하는 테스트넷으로 골리의 머지는 이더리움의 PoS 전환이 임박했다는 뜻입니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 같이 PoW(작업증명)방식으로 채굴이 되어 왔습니다

10분에 한 번씩 블록이 생성되는 비트코인에 비해 이더리움은 블록 생성주기가 약 15초 정도 됩니다

 

비트코인 1개가 채굴될 때 이더리움은 40개 정도가 채굴이 되는데 따라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언제나 이 채굴량에 따라 가격이 오르락 내리락 하곤 했습니다. 

통상 이더리움 가격에서 20~30배 정도를 하면 비트코인 가격이 되곤 하는데

지금의 이더리움의 경우 15배까지 그 배율이 좁아졌습니다. 

 

  • 이더리움의 PoS 전환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더리움이 지분증명 방식으로 전환하게 되면 지분을 많이 가지고 있는 풀이 블록 생성 권한을 받게 됩니다

카르다노의 PoS에서 알 수 있듯이 이더리움 또한 많은 지분을 소유하기 위해서 각 풀이 생성될 것입니다

PoW 방식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를 사용한 것에 비해서 친환경적인 코인으로 변화가 되고,

보다 많은 풀이 자신의 지분량을 늘리기위해서 노드별로 마케팅을 강화할 것입니다 

 

지분에 따른 보상방식도 체계화가 되어야 하는데 이 부분은 지켜볼 일입니다

 

  • 이더리움 채굴자들은?

기존에 이더리움을 채굴한 채굴자 혹은 채굴풀은 더 이상 채굴을 할 수 없습니다

블록생성을 위해 복잡한 연산을 풀어야 했던 채굴풀은 난이도 폭탄을 맞게 됩니다

 

난이도가 대폭 상승하게 되면 복잡한 연산으로 더 이상 이더리움을 채굴할 수 없게 됩니다

채굴풀은 채굴의 채산성을 고려하기 때문에 이더리움 클래식(ETC)로 이동한다고 하지만

여기에 많은 문제가 있습니다

 

  • 이더리움 클래식(ETC)이 대안일까?

이더리움 클래식은 PoW(작업증명)힙니다

이더리움 채굴풀의 대안으로 급부상하여 가격이 지난 2022년 7월 대비 많이 올랐지만,

이더리움 채굴풀의 채산성을 맞추기 위해서는 가격이 훨씬 많이 올라야 합니다

 

시총이 작다는 의미는 채굴파워와도 연관이 있으므로 51% 공격에 취약하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채산성도 맞추어야 하고 51% 공격에도 취약하니 하드포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더리움클래식이 기존 이더리움처럼 생태계가 조성된 것이 아니므로 막상 채굴이 된다 하더라도 문제입니다

이용자가 없기 때문에 코인을 판매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 이더리움 테스트넷 골리(Goerli) 머지(Merge) 이후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이더리움(ETH)은 한국시간으로 9월 19일 PoS로 전환이 완료됩니다

 

현재 중국 채굴풀에 이더리움 PoW를 지지하면서 하드포크 이후 또 다른 코인을 만들도록 견인하고 있는데,

제 2의 이더리움 클래식이 탄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기존 채굴풀 중에서도 PoW를 계속 하고자하는 풀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더리움의 PoS 전환은 마지막까지 지켜봐야 될 문제입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