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빗 리서치 센터에서 2024년 가상시장 전망에 대한 레포트를 발간했습니다.
비트코인 현물 ETF의 승인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2024년 비트코인을 포함한 코인 시장은 긍정적인 신호가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습니다. 코빗 리서치센터에서는 2024년 가상자산 시장을 어떻게 보았을까요?
주요 관점 4가지를 포함하여 저의 생각도 정리해보았습니다.
전문을 보시려면 아래 이미지 클릭!
코인의 쓰임새 증가
코빗 리서치센터 정석문 리서치센터장은 코인의 쓰임새 확산을 토대로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아래는 가상시장 전망에 대한 요약내용입니다.
화폐 현상이란 특정 물건이 가치 저장 수단, 교환 매개, 회계 단위를 하나씩 차례대로 습득해 가는 과정이다. 현재 비트코인은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 수용되는 단계를 거치고 있다. 흔히 비트코인의 쓰임새로 떠올리는 교환 매개 수단은 그 다음이다.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은 가치 저장 수단으로의 저변을 전통 금융권까지 포섭하기 때문에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수준이다.
이에 힘입어 2024년에는 주권 국가의 비트코인 수용과 스테이블코인 2배 성장, Coinbase 소송 합의를 예상한다. 가상자산 시총은 4조 5천억~5조 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기대한다.
정석문 센터장의 예측은 네가지입니다.
- 주권 국가의 비트코인 수용
- 스테이블코인 시가 총액 2배 성장
- SEC vs. Coinbase 소송 합의
- 가상자산 시가 총액 최소 4조5천억 달러
2024년 1월 비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되면 미국이라는 거대한 나라에서 비트코인을 수용하는 셈이 됩니다.
코인에 대하여 강성입장을 보인 SEC는 결국 코인베이스와의 소송에서도 합의하는 방향으로 기울 가능성이 매우 높고, 이렇게 유입된 자금은 가상자산의 전체 시총을 높이게 될 것입니다.
비트코인 현물 ETF 시대 개막
최윤영 연구원은 유튜브에 코빗을 대표해 자주 가상자산 시장에 대하여 분석하고 전망치를 제시한 애널리스트입니다.
작년에 전망한 내용이 대부분 맞아들어갔기 때문에 최윤영 연구원의 이 번 전망 또한 많은 투자자들이 주목하여 보고 있습니다.
최윤영 연구원의 예측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더리움 현물 ETF는 내년 상반기에 승인될 것으로 예상한다. SEC는 행정절차법(APA)에 따라 일관성 있는 결정을 내려야 하는데 현재까지 신청된 이더리움 현물 ETF 중 가장 먼저 찾아오는 최종 결정일이 내년 5월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거래소-SEC 간 소송에서 증권성 판결이 내년에 나올 가능성은 매우 적다고 생각한다.
다만 가상자산의 경제적 실체를 분명히하려는 국제적 논의와 흐름을 반영하여 2024년 말까지는 증권성 판별 단계라든가 사후 단계에 대한 논의들이 구체화될 것으로 생각한다.
최윤영 연구원의 예측은 두가지입니다.
- 내년 상반기 이더리움 현물 ETF 출시
- 증권성 향방
비트코인 현물 ETF가 1월에 승인된다면 이더리움 현물 ETF가 나오지 말라는 법은 없습니다.
이더리움 현물 ETF 신청에 대한 미국 기관들의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기 때문에 당연한 수순으로 예상됩니다.
증권성 향방의 경우 2024년에 뚜렷한 결론이 나오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향방이 잡히게 되면 다량의 코인들이 증권성 시비에 붙게 될 것이고 개인적으로도 2024년에 큰 하락이 온다면 경제 침체와 더불어 코인 쪽에서는 증권성 시비가 알트코인들의 다량 상폐나 어려움을 자초하게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RWA 섹터와 롤업 솔루션에 주목
강동현 연구원은 RWA와 롤업 솔루션에 대해서 전망했습니다.
전망에 대한 요약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RWA 섹터와 롤업 솔루션이 내년에 주목받는 섹터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RWA섹터는 금융기관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금융기관 주도 자금 유입 파급 효과의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된다. 롤업 솔루션은 내년 상반기 진행되는 덴쿤 업그레이드로 인한 사용성 개선과 zk 롤업들의 토큰 발행 및 에어드롭으로 투자자들의 이목이 쏠릴 것으로 예상한다.
- 기관 자금 유입으로 RWA 섹터 주목도가 상승
- 인프라에서는 롤업 솔루션이 기회를 얻을 것
RWA는 Real World Asset의 줄임말입니다. 2024년에는 실물 자산을 온체인화하여 금융에 활용하는 분야가 크게 상승할 것으로 모두 보고 있습니다. 증권형 토큰(STO)으로 폴리매쉬 코인을 소개한 적이 있는데 국내 금융기관들도 증권형 토큰에 대해서 개발을 시작한 상태이고, 국내 상장사 몇 곳도 증권형 토큰을 발행하고 관리하는 솔루션을 점점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금융기관이 코인은 받아들이기 힘들어도, 블록체인을 활용한 증권형 토큰은 신사업으로 많이들 생각하고 있습니다.
단연 대장 코인은 폴리매쉬인데, 현재는 레이어2쪽이 모두 주목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두번째 예측과도 연관이 있는데 따라서 이더리움 확장 솔루션으로 주목을 받은 옵티미즘, 아비트럼, 폴리곤도 주목을 받겠고 앞으로 발행 예정인 코인들도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상자산 시장 재편과 옥석 가리기
김민승 연구원은 가상자산 시장의 재편과 옥석 가리기를 주제로 전망했습니다.
전망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상자산과 가상자산 시장의 제도화는 2024년에도 계속될 것이다. 가상자산 시장에서 ‘비법(非法)과 무법(無法)’의 영역은 점점 줄어들 것이며 가상자산과 시장을 제도 안에서 규율하려는 각국 정부의 노력은 가속화될 것이다. 미국 정부의 의지와 방향성은 명확하고, 회색지대의 활동은 축소될 것이며, 규제를 준수하는 거래소들이 반사이익을 볼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제도권 기관 자금이 유입되면 ETF가 승인된 자산과 그렇지 않은 자산 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생길 가능성이 있고 여기에 프라이빗 세일의 증권성 문제와 ‘혁신 부재’ 문제까지 더해진다면 ‘옥석 가리기’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고 예상된다.
김민승 연구원의 예측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상자산 시장 재편 가능성
- 옥석 가리기와 버블 붕괴
바이낸스가 미국 당국으로부터 얻어맞고 있습니다. 창펑자오는 대표 자리에서 물러났으며 바이낸스는 향후 5년간 미국 정부로부터 모니터링을 받게 됩니다. 바이낸스가 죽으면 뜨게 되는 거래소는 자연스럽게 코인베이스가 될 것입니다. 이 소식 때문에 FTX 거래소도 다시 살아난다는 말도 있습니다.
두 번째 옥석 가리기는 프로젝트의 부진성입니다. 지난 상승장 때 저력을 보여주었던 NFT 섹터들이 현재는 힘을 쓰지 못하고 있습니다. P2E들도 현재는 겨우 숨만 쉬고 있습니다. 다음 상승장이 오기까지 NFT 섹터나 P2E 섹터의 코인들이 얼마나 버텨줄지 모르겠지만 지난 상승장 때 만큼의 상승을 기대하기란 어려울지도 모릅니다.
코빗 리서치센터에서 발간된 레포트를 정리해보았습니다.
2024년 1월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의 기대감으로 비트코인은 상승했습니다.
제가 포스팅을 통해 구매를 추천드린 때에 비해서 지금은 무려 4~50%가 상승했습니다.
2024년 4월에는 반감기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2025년은 대세 상승장이 시작될지도 모를 시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시장은 재편될 것이고 점점 제도권에 들어가게 되면서 비트코인은 이젠 확실한 투자처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사냐 마냐의 문제라기 보다는 지금이라도 모아가는 건 어떨까요?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투자회사 해시드가 주목하는 2024년 코인 투자 섹터 (35) | 2024.01.02 |
---|---|
비트코인 오디널스 VS BRC20 VS 인스크립션 (37) | 2023.12.31 |
2024년 유망 코인 폴리매쉬(POLYX) 가격과 전망 (34) | 2023.11.24 |
업비트 증권형 토큰(STO) 관련 코인 정리 (50) | 2023.11.17 |
업비트 코인 투자를 위한 섹터 나눠보기 암호화폐 기초 상식 (96) | 2023.10.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