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규모 및 현황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전통문화 산업의 시장규모 및 현황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한국공예, 디자인문화진흥원의 실태조사 자료를 참고했습니다.
우리나라 전통문화 산업에 대한 인식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전통문화에 대해서 거의 대부분인 98.3%는 문화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전통문화 하면 ‘복식(한복, 갓)’(35.7%)을 가장 먼저 떠올렸으며, 전통문화에 대한 이미지로 ‘가치있다’는 응답이 60.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친숙하다’(41.8%), ‘특별하다’(34.5%), ‘흥미있다’(24.5%), ‘편안하다’(21.6%) 등 의 순으로 긍정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중복응답)
전통문화 관련 정보를 어디서 얻을까
전통문화에 대한 정보는 주로 ‘TV, 라디오 등 방송매체’(51.5%)를 통해 얻으며, 다음으로 ‘포털사이트 검색’(18.7%), ‘SNS(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블로그 등)’(12.8%)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전통문화 관련 경험은 ‘전통문화 관련 강습 및 교육’ 경험이 79.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전통문화 관련 축제 및 체험’(70.7%), ‘전통문화 관련 취미활동’(54.8%) 순이며, ‘전통문화 관련 인터넷 커뮤니티 및 동호회’ 경험은 8.0%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받고 싶은 전통문화 관련 강습 및 교육은 ‘체험활동 프로그램’(60.4%)과 ‘전통 도구와 재료를 이용한 기본 과정’(46.5%)이 많으며, ‘체험활동 프로그램’ 응답은 18-29세(66.9%) 및 40대(65.8%)에서 높음 v 전통문화 관련 축제 중에서는 ‘전통음식 관련 축제’(56.0%)와 ‘지역문화 관련 축제’(51.1%)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전통문화 관련 취미활동은 ‘윷놀이 하기’(6.4%), ‘한복입기’(6.2%), ‘한지공예체 험’(6.0%) 등의 순으로 하고 있습니다.
전통문화 관련 커뮤니티/동호회는 ‘전통복식 분야’(21.3%), ‘전통놀이 분야’(16.3%), ‘전통식품 분 야’(15.0%) 등의 순으로 활동하며, 주로 ‘체험/관광 중심’(45.0%)으로 활동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관심있는 전통문화 관련 커뮤니티/동호회 분야는 ‘전통식품 분야’가 33.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전통놀이 분야’(10.4%), ‘전통건축 분야’ 및 ‘전통공예 분야’(각각 9.9%) 등의 순이며, ‘체험/관광 중 심’(55.7%) 및 ‘만들기/제작 중심’(28.9%)의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전통문화 산업에 대한 인식
일반소비자가 생각하는 전통문화산업의 분야는 ‘전통식품’(63.2%), ‘전통복식’(60.7%), ‘전통놀이’(56.5%), ‘전통건축’(54.8%), ‘한글(서체)’(44.3%), ‘공예’(40.5%) 등의 순입니다.(중복응답)
전통문화산업 관련 제품 및 서비스 중 관심도는 ‘전통식품’이 4.06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전통건축’(3.77점), ‘전통복식’(3.57점), ‘전통놀이’(3.56점), ‘전통공예’(3.54점) 등의 순서로 조사되었습니다.
전통문화산업 분야별 발전 정도는 ‘전통식품’이 4.12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전통복식’(3.74점), ‘전통건축’(3.50점), ‘전통공예’(3.39점) 등의 순입니다. 전통문화산업 분야별 발전 필요성은 ‘전통식품’이 4.45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전통복식’(4.17점), ‘전통건축’(4.06점), ‘전통공예’ 및 ‘전통놀이’(3.87점) 등의 순이며 일반소비자의 전통문화산업의 관심도와 발전정도 및 발전필요성과 발전정도에 대한 IPA 분석결과, 전통 건축이 관심도와 발전필요성에 비해 발전정도가 낮은 최우선 발전분야로 분석되며, 한지와 전통공예는 모든 부분에서 낮게 나타나 점진적인 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통문화산업에 대한 인식 중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필요’ 의견이 4.01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사회의 경제적 발전 및 경쟁력 강화에 도움’(3.94점), ‘지역균형발전 및 노년층 사회활동 확대에 도움’(3.86점), ‘구매 의향이 있다’(3.65점) 등의 순으로 전반적으로 긍정적 인식이 폭 넓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전통문화산업 진흥이 중요한 이유로 ‘전통문화의 보존 및 계승’이 39.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우리 정체성 및 개성의 원천’(27.1%), ‘미래 문화창조의 원동력’(13.1%)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전통문화산업 발전 저해요인으로 ‘현대의 생활양식과 맞지 않아 불편함’이 36.1%로 가장 높았고, 다음 으로 ‘장인 등 전통문화 종사자 부족’(25.3%), ‘촌스럽고 고루하다는 인식’(18.7%)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전통문화 산업 매출액 및 사업 현황(시장규모)
전통문화산업을 영위하는 사업체의 2022년 매출액 평균은 8억7천1백만원이며, 전통건축(16억2천만 원), 전통식품(15억6백만원), 전통공예(2억4천만원), 전통복식(1억2천4백만원) 순으로 응답되었습니다.
2022년 전통문화산업 매출액 평균은 7억1천9백만원이며, 전통건축(13억8천6백만원), 전통식품(12억 2천8백만원), 전통공예(1억47백만원), 전통복식(1억2천3백만원) 순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전통문화산업 분야별 매출액 ‘있음’ 비율은 ‘제조/생산’이 69.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유통/판 매’(45.4%), ‘교육/체험’(17.1%), ‘대여/임대’(11.2%) 순입니다. 평균 매출액은 ‘제조/생산’이 5억4천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유통/판매’(1억6백만원), ‘교육/ 체험’(1천만원), ‘대여/임대’(6.9백만원) 순임 v ‘제조/생산’ 응답은 산업분류별로는 복식(82.0%), 식품(87.6%), 건축(44.0%), 공예(64.6%) 입니다.
‘유통/판매’ 응답은 산업분류별로는 복식(61.7%), 식품(57.4%), 공예(59.8%), 건축(1.6%) , 제조/생산은 건축(11억3천만원), 유통/판매는 식품(3억1천1백만원), 대여/임대는 복식(2천6백만원), 교육/체험은 건축(2천7백만원)에서 높게 나타났습니다.
전통문화 산업 사업체 종사자 현황
2022년 상시 종사자수 평균은 5.6명으로 정규직은 4.3명, 비정규직은 1.2명입니다.
프리랜서는 0.5명으로 조사되었으며 상시종사자(9.57명)와 정규직(7.41명)은 건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전통문화 산업 시장 전망
향후 3년 이내 전통문화산업 시장 전망이 ‘감소한다’(42.6%)는 응답이 ‘증가한다’(16.3%)보다 상대적으로 높습니다.(현재 수준 유지 : 41.1%). 특히, ‘감소한다’는 의견은 복식(60.9%)에서 높고, ‘유지’는 건축 (44.8%)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향후 확장 사업 분야로 ‘제조/생산’(33.0%), ‘유통/판매’(32.2%), ‘교육/체험’(12.6%), ‘대여/임 대’(8.1%)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없음 : 12.8%). ‘제조/생산’은 건축(41.6%), ‘유통/판매’는 식품 (48.8%), ‘교육/체험’은 공예(24.4%), ‘대여/임대’는 복식(21.1%)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전통문화산업에 대한 인식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필요’에 대한 공감도가 4.26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사회의 경제적 발전 및 경쟁력 강화에 도움’(3.97점), ‘지역균형발전 및 노년층 사회활동 확대 에 도움’(3.79점), ‘구매 의향’(3.31점), ‘투자 의향’(3.25점) 순으로 공감하고 있습니다.
'경제와 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사 분담 부모 부양 남여 결혼에 대한 인식 통계 (2024년 사회 조사) (1) | 2024.12.23 |
---|---|
웨어러블 시장 규모 및 산업 현황 2024년 (1) | 2024.12.12 |
2025년 신사업 창업사관학교 사업계획서 작성 팁 (2) | 2024.11.25 |
중소기업 근로자가 알아야 할 재무제표 기초 상식 (2) | 2024.11.21 |
도심융합특구 추진 배경과 개념, 주요 지원 사항 정리 (1) | 2024.1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