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술정책단에서 매력적인 자료가 나왔습니다.
우리나라 기업 R&D 현황 자료인데 R&D 관련 자료를 통합하여 개괄적으로 분석한 자료입니다.
기업 연구개발 현황 및 전망
우리나라 기업 R&D는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연평균성장률 17.5%로 전체 연구개발비 성장률 15.6%보다도 높은 추세를 보이며 연구개발 활동의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최근 10년(13~22년)간 우리나라 연구개발비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기업에서 가장 큰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2022년 79.4% 수준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기도 했습니다.(공공연구기관 11.5%, 대학 9.1%)
10년간 연구개발비 연평균 증가율에서도 기업, 대학, 공공연구기관 순으로 지난 10년간 연구개발비 증가 폭이 컸습니다.

2024년 우리나라 1개 기업당 연구개발비
기업 연구개발비와 연구개발 수행기업의 수도 지난 10년간 지속 증가하고 있음에도 기업 수의 증가 폭이 더욱 커 1개 기업당 연구개발비는 전반적으로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다만 2020년을 기점으로 기업당 연구개발비는 2년 연속으로 증가했습니다.
또한, 2022년 기준으로 공공연구기관, 대학과 비교하였을 때 가장 많은 연구개발비 비중(79.4%)을 나타냄에도 1개 기관당 연구개발비 규모는 두 기관 유형 대비 5% 수준입니다.

2024년 기업 R&D 인력 추이
기업 R&D 인력 추이를 보면 기업 연구인력은 10년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지만 1개 기업당 연구인력은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2년 기준 평균 7.3명의 연구인력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에 비해 10년간 공공연구기관의 1개 기관당 연구인력 추이는 큰 변동이 없고, 대학의 1개 기관당 연구인력은 성장세를 나타냅니다.

기업 R&D 투자와 인력채용 모두 2023년 대비 축소 계획이 확대 계획보다 더 큰 편으로 나타나 전반적인 기업의 R&D 투자 및 활동 심리가 위축될 전망입니다.
중소기업은 투자 확대 계획이 축소 계획 응답비율보다 6.4%p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긍정 전망을 나타내는 반면, 중견기업은 10%p 차이로 축소 계획이 강세입니다. 이 것으로 보아 기업의 연구인력 채용에 대한 의지가 다소 침체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24년 기업 유형별 연구개발 현황
2022년 기업 연구개발비 89.4조원 중 대기업이 61.7%(55.2조원)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견기업이 12.5조원, 벤처기업이 12.3조원, 중소기업이 9.4조원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17년~2023년 간 연구개발비 연평균 증가율은 벤처기업이 13.0%, 대기업 6.7%, 중견기업 6.6%, 중소기업 6.1% 순으로 벤처기업이 다른 유형보다 2배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예년과 달리 2021년 대비 2022년 증가율은 벤처기업이 5.6%로 전체 기업 유형 중 가장 낲습니다.
2021년 대비 2022년 연구개발비 증가율은 대기업이 12.3%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여, 기업연구개발비의 전체적인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업 연구인력 학위와 전공
2022년 기준 모든 기업 유형에서 학사급 연구인력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석 박사급 인력의 비중은 대기업(45.1%)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연구인력의 전공 구분으로 보았을 대, 대기업의 대부분(97.3%)은 이공, 자연계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소기업은 인문계열 전공자가 10% 이상(12.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경제와 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 판매 시 위생 교육과 건강진단에 관한 규정 (1) | 2025.03.04 |
---|---|
휴게음식점 일반음식점 차이(식품접객업 영업의 종류와 영업 형태 비교) (0) | 2025.03.02 |
다이어그램 그려주는 인공지능(AI) 냅킨 AI 추천드립니다 (0) | 2025.02.23 |
2024년 한약소비 실태 조사 한약시장 규모 및 현황 (1) | 2025.02.13 |
세계 재생에너지 시장 동향 및 시사점 (2024) (0) | 2025.0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