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전체 글533

발렌시아가 (Balenciaga)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결제 지원 프랑스 명품 중에서 국내에도 잘 알려진 발렌시아가(Balenciaga)가 암호화폐 결제를 지원함 지금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결제 업체를 선정하는 단계라고 밝혔음 이 번 암호화폐 결제는 온라인 사이트인 balenciaga.com에서 결제를 지원하고 오프라인 매장에서 암호화폐 결제를 지원한다고 함 온라인 상에서 암호화폐도 결제해야 하고 오프라인에서 결제를 해야하면 카드 타입이어야 함. 지난 번 태그호이어가 비트페이(Bitpay)에 암호화폐 결제를 맡긴 것처럼 발렌시아가도 비트페이와 손을 잡을지는 지켜봐야 될 일임. 명품 브랜드가 속속 암호화폐의 결제를 지원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임. 데이터쪼가리라고 불리는 비트코인을 가치가 있는 자산으로 인정했다는 뜻임. 명품 브랜드가 가치를 인정해주니 앞으로 비트코인은 .. 2022. 5. 27.
조이시티 방치형 P2E 게임 추천 크립토볼Z (Cyptoball Z) 같이 해요 조이시티가 P2E 게임에 엄청나게 주력하고 있음 조이시티가 위메이드의 가상자산, 위믹스(WEMIX) 생태계에 올라탄 뒤로 기존에 출시한 모든 게임을 P2E로 바꿔서 재출시하고 있음 위믹스에 올라온 여러 게임 중에서 조이시티가 그나마 속도가 좀 빠른 편이라고 할 수 있는데 지난 번 Gunship Battle: Crypto Conflict 에 이어서 두 번째로 선보이는 P2E게임이 크립토볼z라고 할 수 있음 크립토볼Z 는 방치형 머지 게임 장르라고 할 수 있음 아기자기한 그래픽의 캐릭터를 합성하여 상위 버전의 히어로를 얻고 횡방향 스크롤 방식의 액션 장르를 더한 게임이라 쉽게 제어하고 재미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크립토볼Z 의 토큰은 헤르코(HERCO)인데 위믹스 월렛에 이미 리스팅이 되어있고 DEX.. 2022. 5. 26.
삼성은 암호화폐에 진심이다 삼성넥스트(SAMSUNG NEXT) 웹3 플랫폼 개발사 '사가' 투자 5월 23일 신기한 소식이 하나 들려왔음 삼성의 투자 자회사인 삼성넥스트(SAMSUNG NEXT)의 투자소식임 삼성 넥스트는 2017년 CES에서 공식 출범한 삼성전자의 투자회사가 되겠음 삼성전자가 신사업을 어떤 것에 주력하는지 사람들이 잘 모르는데, 삼성이 신사업으로 지금 주력하고 있는 분야는 인공지능(AI), 블록체인, 핀테크, 헬스케어 인프라스트럭처, 미디어테크 6개 분야임 그래서 삼성이 자회사를 두고 공격적으로 블록체인에 투자를 하는 것임 삼성넥스트의 투자가 이 번이 처음은 아님. 삼성은 플랫폼 알케미, 지갑 개발 업체 젠고, NFT 거래 플랫폼 슈퍼레어에도 투자한 바가 있고 HYPR, FLOW 코인 개발사인 대퍼랩스에도 투자한 바 있음 그래서 FLOW 코인이 삼성 코인이다라는 말이 많았는데 가격.. 2022. 5. 25.
위믹스(WEMIX) 코인 가격 상승 원인과 2022년 전망은? 애증의 코인이 있다면 바로 위믹스 코인일 것임 비트코인의 상승장이 4년 만에 돌아오는 반감기와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아실 것임. 비트코인의 반감기(Halving)은 채굴보상을 절반으로 줄이는 것을 의미하는데 2013년, 2017년에 반감기가 있었고 2021년에도 반감기가 왔었음. 반감기가 온 다음 해에 폭발적인 상승장이 오는데 비트코인의 상승 이후에 꼭 알트의 상승장이 왔기 때문에 2021년에 코인으로 돈을 버신 분들이 많았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음. 2021년의 메타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 P2E가 대세였다고 봐도 과언이 아님. 그 중에서 대장격으로 달리다가 지금은 처참히 시세가 무너진 코인이 있다면 위믹스(티커, WEMIX)가 바로 그 주인공이 되겠음 코인이 대부분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실체가 없.. 2022. 5. 23.
태그호이어 (TAG Heuer)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 지원 비트페이(Bitpay)와 손잡다 세계적인 시계 브랜드 태그호이어가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비트페이(Bitpay)와 손잡았음 태그호이어는 공식 웹사이트에서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밝힘 공식 웹사이트에서 비트코인, 이더리움, 도지코인과 스테이블 코인의 결제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는데 최대 결제금액은 한 거래당 1만 달러로 제한을 했음 이 번에 손잡은 비트페이는 2011년에 설립된 크립토 결제 전문 기업이 되겠음 정말 극 초기에 비트코인의 결제를 위해 시작된 기업으로 2021년에는 구글 페이의 결제도 지원했음 비트페이가 구동되는 방식은 카드에 돈을 충전해서 카드를 사용하는 방식이 되겠음 이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를 달러로 바꿔서 결제를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카드를 충전해서 여러 결제에 사용하는 방식임 구글 페이에서 삼성 .. 2022. 5. 21.
시티DAO(City DAO) 실물 토지 기반 NFT 와이오밍 주 토지 에어드랍 클레임 시작 이더리움 기반의 NFT 프로젝트. 실물 토지 기반의 DAO 프로젝트 시티DAO(City DAO)가 미국 와이오밍 주의 실물 토지 기반의 NFT 에어드랍 클레임을 시작했음. 이 번 에어드랍은 'Parcel 0'라고 명명되었고, 시티DAO의 CitizenNFT를 보유한 사람들은 7월 1일까지 클레임할 수 있음 시티DAO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DAO 를 표방하는 것을 볼 수 있음 홈페이지 제일 상단에서 클레임 가능함 https://www.citydao.io/ CityDAO LEARN Blockchain Cities IRL Blockchain technology has been largely confined to the digital sphere. Current cities are technology enhan.. 2022. 5. 20.
칠리즈(CHILIZ) 코인 스코빌 테스트넷 2단계 할라피뇨 시작 팬토큰의 선두주자, 팬토큰의 대장 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칠리즈(티커, CHZ)가 테스트넷 2단계에 돌입했음 테스트넷 프로젝트는 스코빌(Scoville)이라 이름이 명명되어있음. 지난 3월에 칠리즈는 퍼블릿 테스트넷인 스코빌을 출시했음. 이 때도 시세가 출렁였는데 테스트넷에서 테스트를 하다가 메인넷으로 가는 것 아니겠음? 칠리즈는 코인마켓캡 기준 67위에 랭크되어 있는 코인임. 이더리움 기반의 토큰으로 코인이라고 명명하기 보다 토큰이라고 부르는 것이 맞음. 자체 생태계를 가지고 있는 가상자산을 통상 "코인"이라 부르고 그 위에서 구동되는 Dapp 들에서 사용되는 가상자산을 "토큰"이라고 부름 칠리즈는 현재 가상자산의 동반 하락 약세장으로 인해 150원 언더에서 시세가 형성 중임. 칠리즈가 팬 토큰으로 출.. 2022. 5. 19.
스튜디오 드래곤 더 샌드박스(SAND)와 MOU체결 CJ ENM의 드라마 부분에서 물적분할 되어서 나온 회사인 스튜디오드래곤이 더샌드박스와 MOU를 체결했음 샌드박스 코인이 작년 소프트뱅크 투자 이후에 메타버스의 대장이 되었는데 한국 K-드라마 대장기업인 스튜디오 드래곤과 협업 소식을 전해오면서 대장으로 자리를 굳힐 것으로 보임 이 번 협업은 더 샌드박스 내 랜드(LAND)에서 전시관, 드라마 제작 발표회, 게임 등을 만들기 위한 포석으로 보임 2021년부터 스튜디오 드래곤은 드라마 빈센조, 호텔 델루나 등의 NFT 상품을 판매하기도 했는데 이 번 협업으로 더욱 NFT 사업을 가시화할 것으로 보임 스튜디오 드래곤의 최대주주는 CJ ENM인데 또 다른 주주는 네이버임. 네이버 제페토에 호텔 델루나 의상이 아이템으로 판매된 적도 있고, 앞으로 네이버의 라인,.. 2022. 5. 18.
네이버 라인 넥스트(Line Next) 롯데월드 로 NFT 동맹 도시 월렛(Dosi Wallet활용) 라인 넥스트(LINE NEXT)는 네이버에서 블록체인과 NFT 사업을 수행하는 기업이라고 보면 되겠음. 작년 연말에 설립된 법인이고 라인 블록체인, NFT 플랫폼 사업을 담당하는 라인 넥스트는 글로벌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고 Web3.0을 사업영역에 포함시켜서 열심히 사업하고 있음. 카카오가 클레이튼이라면 네이버는 라인 링크(LN)아니겠음? 그 라인링크는 라인 주식회사에서 만든 가상자산이고, 라인 넥스트와는 별개임. 하지만 라인 링크가 라인 넥스트의 플랫폼에 장착되는 건 이미 테스트를 마친 상태라 라인링크가 2022년에 또 어떻게 성장할지는 아무도 모를 일임 우리나라 거래소에는 라인링크가 빗썸에만 상장되어 있음. 라인 주식회사가 일본을 기반으로 서비스가 되고 있기 때문에 가상자산도 지금은 일본을 .. 2022. 5. 17.
가상자산 기초 용어 (POW OTC ICO IDO IEO 등) 1. POW(Proof Of Work) : 작업증명, 신규 블록 형성에 기여한 댓가로 가상자산을 제공하는 방식(BTC, LTC 등) 2. OTC(Over The Counter) : 장외거래시장, 기관 대 기관 3. On-Chain Data : Block chain 상에서 이뤄진 거래내역을 데이터화 한 것 (대표 사이트, 크립토퀀트) 4. ICO(Initial Coin Offering) : 기업의 IPO에 해당, 코인을 상장하는 것을 의미 -> 한국은 자본시장법 위반으로 ICO는 불법임. -> 2017년 이후 진행된 국내 ICO는 없음 (몰타, 싱가폴, 스위스 등으로 사업자를 옮겨서 ICO 진행) 5. Private Sale : 소수 특정인, 기관에 코인을 비공개 판매하는 것 6. Pre Sale : 특별.. 2022. 5. 16.
비트코인(Bitcoin)과 가상자산, 블록체인의 기초부터 배우기 하락장에 공부해야 되는 것은 주식이나 코인이나 똑같음 하락장에 비트코인을 다시 한 번 복습하는 의미로 계속 글을 써볼까 함 1. 개요 - 티커 BTC - 2009년 1월 3일 18시 15분에 제네시스 블록이 형성되었음 - 사토시 나카모토에 의해 개발된 가상자산임 - 총 발행량은 2100만개로 정해져있음 비트코인의 백서(Whitepaper). 왜 백서라고 부를까? -> 영국 정부가 의회에 제출하는 보고서가 하얀색 표지이기 때문에 사토시 나카모토도 백서라고 불렀음 비트코인의 백서는 총 9페이지이며 코인픽, 백서 저장소 등 여러 채널에서 확인 가능함 백서 요약본은 라이트 페이퍼(Light paper)라고 부름 이 엄청난 개발물이 십수년이 지난 지금 수천만원에 거래가 되고 있다는 걸 믿으실 수 있겠음? 내 지인.. 2022. 5. 16.
M2E 추천 아글렛(Aglet)이 제2의 스테픈이 된다 NFT 오픈과 2022년 로드맵 솔라나 기반의 M2E(Move To Earn) Dapp인 스테픈이 엄청난 발전을 보여주었음. 스테픈은 신발 NFT를 구매한 후 운동을 하면 NFT의 성능에 따라 채굴을 할 수 있게 하는 M2E의 대표주자가 되었음 클레이튼 기반의 스니커즈, 루나 기반의 코인워크 등 후발주자가 이 성공을 보고 속도를 내고 있고, 코이너들은 다음은 어떤 앱이 후발주자가 될 것인지 주목하고 있음 2021년에 시작된 아글렛(Aglet) 프로젝트는 아디다스 출신의 기획자가 대표자가 된 프로젝트임. 트렌드 분야에 있었던 Aglet 대표 라이언 멀린(Ryan Mullins)이 기회를 보았고 이 Dapp을 개발했음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Aglet은 엄청난 속도로 개발이 진행 중이고, 현재 iOS, AOS 모두 어플 다운로드 및 .. 2022. 5. 15.
LIST